|
10일 중국 공산당 기관지 인민일보에 따르면 중국 교육부는 전날 코로나19 확산 후 호주에서 아시아인에 대한 인종차별 행위가 늘고 있다면서 호주 유학의 위험을 경고했다.
교육부는 또한 “최근 호주 주요 학교들이 7월 전후로 속속 개학할 계획”이라며 “전세계 코로나19 확산세가 여전히 효과적으로 통제되고 있지 않은 만큼 해외 여행과 학교 개방에 여전히 위험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중국은 코로나19 위험과 인종차별 등을 이유로 이같은 방침을 내린다고 밝혔지만, 이는 코로나19 발병의 기원 조사를 놓고 호주와 갈등을 빚고 있는 것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다.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8일 정례브리핑에서 “일부 호주 정치인과 언론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중국 바이러스’라고 부르며 중국 국기와 국휘 도안을 악독하게 왜곡했다”며 “호주에 있는 많은 중국인, 화교 상인들이 욕설적인 말을 듣고 심지어 포위 공격까지 당했다”고 비판한 바 있다.
중국은 최근 무역 제한을 시작으로 관광, 유학 등 다양한 방면에서 호주를 압박하고 있다.
중국 정부는 지난달 일부 호주산 소고기의 수입을 금지하고 호주산 보리에 고율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내놨다. 이어 중국 문화관광부는 지난 5일 호주 여행 자제를 권고했다.
중국은 호주의 최대 교역 파트너다. 호주에 중국인 유학생과 관광객 역시 큰 수입원이다. 지난해 140만명의 중국인 관광객이 호주를 방문했으며 호주에서 유학하는 중국인 학생 수는 260만명에 달한다.
양국 관계가 멀어지고 있다는 점은 중국의 호주 투자 상황에서도 나타나고 있다.
회계법인 KPMG와 시드니대학가 최근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호주 내 투자는 58.4% 줄어든 34억달러(약 4억달러)를 기록했다. 2007년 이후 최저다.
호주 정부가 지난 4월 코로나19 기원에 대한 국제조사를 주도적으로 요구한 이후 호주와 중국의 갈등은 더욱 깊어졌다.
호주는 남중국해에서 미국과 함께 군사훈련에 참여했으며 화웨이를 5G 인프라에서 배제한 데다 홍콩 국가보안법에 우려를 표명하는 등 중국을 자극하고 있다.
주즈췬 버크넬대 교수는 “중국이 호주를 무시하는 것은 적극적으로 바뀐 중국 외교의 일환”이라면서 “중국은 호주가 트럼프 정부의 반(反)중국 캠페인에 동참한 최근의 움직임에 불만이 있는 것이 분명하다. 중국이 호주에 보내고 있는 메시지는 트럼프 정부를 너무 바짝 따르지 말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중국이 다른 나라에 보복 조치를 한 건 이번에 처음이 아니다.
한국이 2016년 사드(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를 배치했을 때도 이후 다양한 경제 보복을 가했다. 2010년 인권 운동가인 류샤오보(劉曉波)가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이후엔 노르웨이와 6년 간 갈등을 빚었다. 중국은 노르웨이산 연어 수입을 금지했으며 노르웨이와의 양자 회의도 거부했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추가로 석탄 수입 관세를 높이거나 부동산 투자를 제한하는 등 호주를 추가로 압박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다.
호주 싱크탱크 중국정책센터의 애덤 니 소장은 “중국은 호주를 일부 이슈에서 미국의 대리인으로 여긴다”며 “이는 호주의 태도를 바꾸려는 것뿐만 아니라 미국의 다른 동맹 및 파트너에 경고를 보내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