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설 차례상 비용 낮아졌다는 정부, 소비자 체감물가는 올라

김형욱 기자I 2018.02.14 15:49:03

정부는 전통시장…소비자는 대형마트 기준점
손질비 포함된 간편식 소비증가도 한몫
전례없는 한파로 무·배추 수급 일시 차질

9일 서울 대형마트에서 소비자가 배추를 살펴보고 있다. 연합뉴스


[세종=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농수산물 가격 통계수치와 국민 체감 생활물가에 차이가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관심 두고 노력해 달라.”(이낙연 국무총리 12일 농협하나로클럽 서울 양재점)

설을 앞두고 농축수산물 가격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정부도 설 성수품을 중심으로 주요 농산물 가격을 안정시키고자 매일 가격 동향을 점검하고 정부 비축 물량을 늘리고 있다. 이 덕분에 무와 배추, 감자처럼 유례없는 한파에 타격을 입거나 공급에 차질이 있었던 일부 품목을 빼면 예년(과거 5년 평균)과 비교해 가격이 안정적이다. 한국농수산식품공사(aT)가 전국적으로 조사한 설 차례상 재료 구매비용도 전통시장은 24만8935원으로 1년 전보다 1.4% 내렸다.

그러나 소비자 체감은 통계와 달랐다. 올해도 설을 앞둔 마트에선 ‘장보기가 겁난다’는 소비자의 푸념이 이어진다. 왜일까.

우선 정부가 제공하는 농산물유통정보(KAMIS) 소매가격은 전국 (전통)시장 기준이다. 농축수산물은 평균적으로 대형 마트보다 전통시장이 30% 싸다. 전통시장보다 대형 마트를 주로 찾는 보통의 소비자로선 30%에 가까운 괴리를 느낄 수밖에 없다. 실제 aT가 발표한 설 차례상 재료 구매비용도 전통시장 기준으론 하락했으나 대형 유통업체 기준으론 35만7773원으로 44% 높았을 뿐 아니라 전년보다도 5.1% 올랐다.

원재료를 사 직접 손질하기보다는 간편식이나 중간 완성품 소비 비중이 늘어나는 현 세태도 물가 체감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힌다. 중간 완성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가공 비용 등이 추가로 들어갈 수밖에 없다.

물가 상승·하락의 비교 기준도 다르다. 정부는 계절적 요인 등을 고려해 1년 전 가격과 비교하는 게 보통이지만 소비자는 바로 지난달 장 볼 때와 비교하는 데서 나오는 차이도 있다. 가령 올 1월 배추, 풋고추 등 일부 품목 가격은 한 달 전보다 두 배 이상 뛰기도 했으나 최근 5년 평균 1월 가격과 비교해선 여전히 낮거나 높았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연초 안정세였던 농축수산물 가격이 설 직전 꿈틀대기 시작했다. 1월 말부터 배추 주산지인 전남 해남과 무 주산지 제주에 유례없는 한파가 들이닥쳤기 때문이다. 배추와 무는 각각 영하 8도와 0도 이하 온도가 이어지면 피해가 발생하는데 이 기간 해남은 최저 영하 14도, 제주도 영하 3.8도까지 내렸다. 배추와 무가 뿌리째 얼어버리는 피해가 발생했다. 정부가 설 특수를 고려해 비축 물량을 풀었으나 이례적 한파는 예상치 못했다.

소비자 물가만 생각하면 정부가 아예 농축수산물 가격을 낮게 가져가는 정책을 쓸 수도 있다. 생산, 비축 물량을 큰 폭으로 늘리면 된다. 그러나 이 역시 한계가 있다. 가격을 낮추는 건 소비자에게는 좋지만 안 그래도 도시민보다 수입이 낮은 농촌·농업인의 소득 기반이 무너질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의 목표가 농축수산물의 가격 하락이 아닌 가격 안정화인 것도 이 때문이다.

정부 통계에 대한 대중의 불신은 비단 명절을 앞둔 농축수산물만의 문제는 아니다. 통계청 역시 공식 발표되는 경제지표와 국민 체감의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통계청은 올해 늘어나는 1인·고령자 가구의 체감 물가를 반영하기 위해 가구특성별 소비지출액에 가중치를 둔 물가지표를 개발키로 했다. 또 경제구조와 소비지출 변화를 반영해 소비자물가지수 등 경제동향 통계의 기준 연도와 가중치도 개편할 예정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