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지지층에 복귀 시사한 尹…한남동 관저서 통합메시지 준비

김기덕 기자I 2025.03.26 13:11:07

자유·인권·법치 강조하며 지지층 결집
헌재 자극하는 정치적 발언 등은 자제
직무 복귀시 국민 대통합메시지 낼듯

지난 8일 석방된 윤석열 대통령이 서울 한남동 관저 앞에서 차에서 내려 지지자들에게 손을 들어 보이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제공)
[이데일리 김기덕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석방 후 한남동 관저에서 19일째 칩거하며 ‘로우키 행보’를 보이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판단에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정치적 발언은 자제하는 대신 국민들을 포용하거나 지지층 결집을 위한 메시지에 집중하는 모양새다. 헌법재판소의 탄핵심판 선고가 예상보다 길어지는 상황에서 사실상 직무복귀를 가정한 행보라는 해석이 나온다.

26일 정치권에 따르면 윤 대통령은 지난 8일 서울구치소에서 석방된 뒤 서울 용산구 한남동 관저에서 대외활동을 자제하며 헌재의 선고를 묵묵히 기다리고 있다. 당초 활발하게 정치적 메시지를 발신하며 지지층을 선동하는 여론전에 나설 것이란 예상과는 다른 행보다.

윤 대통령 측 관계자는 “윤 대통령은 한남동 관저에서 성경책 읽기에 몰두하면서 담담하고 차분하게 헌재 결정을 기다리고 있다”며 “직무 복귀가 결정될 것을 대비해 국민 대통합 메시지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윤 대통령이 석방 이후 지금까지 총 세 차례 메시지를 냈다. 서울구치소 석방 직후 윤 대통령은 “불법을 바로잡아준 중앙지법 재판부의 용기와 결단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또 본인 지지층을 향해서는 “저의 구속에 목숨을 끊으셨다는 안타까운 소식을 접하고 너무나 마음이 아팠다”면서 “저의 구속과 관련돼 수감돼 있는 분들도 조속히 석방되기를 기도한다”고 덧붙였다.

해당 메시지는 지난 1월 윤 대통령이 수사기관에 체포되기 직전 대국민 담화에서 “이 나라의 법이 무너졌다”며 강경한 입장을 내비쳤던 것과는 대치되는 발언이다. 정치권에서는 선고를 앞둔 헌재 재판관들을 자극하지 않기 위한 행동이라고 해석한다. 또 법원의 구속 취소 결정과 주요 공직자에 대한 헌재의 탄핵심판 기각 결정 등으로 지지층이 결집하고 여권에서도 화력 공세에 나선 상황에서 정치적 메시지를 자제하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판단한 것으로 보인다.

윤 대통령은 지난 20일과 25일에는 단식 중인 지지자들에게 “탄핵 결과가 아무리 중요해도, 여러분의 생명보다 소중할 수 없다”며 단식 중단을 촉구했다. 또 헌재 앞에서 단식 중인 지지자에게는 “건강해야 나라를 바로 세우는 일을 함께 할 수 있다. 걱정하지 말고 건강을 우선 회복해야 한다”며 “국민 여러분과 자유, 인권, 법치를 세우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노력을 다하겠다”고 추가 메시지를 전달했다.

국가적 재난 상황인 산불 피해를 최소화해달라는 지시도 내렸다. 윤 대통령은 지난 23일 본인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전국적 산불 상황에 대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가용한 자산을 총동원해서 산불을 빨리 진화하고 이재민들을 잘 도와주길 바란다”고 지시했다.

대통령실도 윤 대통령의 직무 복귀를 희망하고 있지만 대외적으로는 침묵하는 상황이다. 다만 최재해 감사원장과 한덕수 국무총리 등에 대해 헌재의 탄핵심판 기각 결정에 대해 ‘야당의 탄핵 남발에 경종’, ‘탄핵은 악의적은 정치 공세’라고 평가하며 국가 정상화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조속한 국정 안정을 위해 한 권한대행을 보좌하고 있다”며 “윤 대통령에 대한 헌재 선고 결과를 차분하게 지켜볼 예정”이라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 측 석동현 변호사가 지난 25일 단식 중인 전지영씨를 찾아 윤 대통령과 전화통화를 연결해주고 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