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1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보편 관세나 개별 국가에 대한 세금을 부과할 계획이 있는지 묻는 질문에 “이틀 후에 알게 될 것이다. 아마도 내일 밤 또는 수요일에 관세 세부 사항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는 상호적일 것이다. 그들이 우리에게 부과하는 (관세율)만큼 우리도 그들에게 청구할 것”이라면서도 “우리는 그들보다 더 관대하게 대하고 있다. 그들은 우리를 이용해 왔지만 우리는 그들과 비교하면 매우 관대하게 행동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그들이 우리에게 부과하던 것보다 숫자(관세율)가 더 낮을 것이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당히 낮을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수석 대변인도 구체적인 관세율이나 어떤 국가가 영향을 받을 것인지 묻는 질문에는 자세한 내용을 밝히기를 거부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리는 행사에서 상호 관세 부과를 발표할 것”이라는 답변으로 대신했다.
그는 “트럼프 내각 구성원들도 행사에 함께 참석할 예정이며, 국가에 기반한 관세가 포함될 것”이라며 국가별로 다른 관세율이 적용될 것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되풀이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보좌관들로부터 몇가지 안을 보고받았으며 최종 결정은 대통령이 내릴 것”이라고 덧붙였다.
레빗 대변인은 또 “트럼프 대통령은 ‘부문별 관세’ 시행에도 전념하고 있지만, 그 시점에 대해서는 트럼프 대통령에게 맡길 것”이라며 “이는 4월 2일 행사에서는 중점적으로 다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부연했다.
|
레빗 대변인은 “트럼프 대통령은 수십년 동안 우리나라를 착취해 온 불공정한 무역 관행을 되돌릴 관세 계획을 발표할 것”이라며 지난달 도표까지 들고 나와 설명했던 유럽연합(EU)의 50% 유제품 관세, 일본의 700% 쌀 관세, 인도의 100% 농산물 관세, 캐나다의 300% 버터·치즈 관세 등을 다시 한 번 거론했다.
그는 “이런 관세 때문에 미국의 제품이 이들 시장으로 수입되는 것이 사실상 불가능해졌고, 많은 미국인들이 지난 수십년 동안 사업과 일자리를 잃었다”며 “이제는 상호주의의 시대다. 트럼프 대통령이 미 국민을 위해 올바른 일을 하기 위해 역사적인 변화를 가져올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아울러 다른 국가들이 관세를 면제받기 위해 할 수 있는 게 있느냐는 질문에 “유감스럽게도 너무 오랫동안 우리나라를 갈취해왔다. 현재로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어떠한 국가 단위의 관세 면제도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잘라 말했다.
레빗 대변인은 또 호주와 같이 대미 관세가 없지만 비관세장벽이 있는 나라도 상호관세 부과를 예상해야 하느냐는 질문에는 “미국인을 불공정하게 대우한 모든 국가는 관세를 예상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외에도 주식시장의 부정적인 반응 때문에 관세 정책을 재검토할 수 있냐는 질문에 “월가는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때와 마찬가지로 이번 행정부에서도 잘 될 것”이라고 낙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