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산업부 “美 무역장벽 보고서 예년 수준…실무협의 지속”

김형욱 기자I 2025.04.01 10:03:35

USTR, 국가별 무역장벽 보고서 발표
농산물 등 韓 비관세 장벽 21건 포함
"언급 건수 40여건에서 줄어든 상황,
상호관세 등에 韓 입장 최대한 반영"

[이데일리 김형욱 기자]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3월31일(현지시간) 2025년 국가별 무역장벽(NTE) 보고서를 발표한 가운데 당국이 해당 보고서를 예년 수준으로 평가하며 미국 측과의 실무협의를 이어가겠다고 밝혔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의 2025년 국가별 무역장벽(NTE) 보고서 표제. (사진=USTR 홈페이지)
산업부 관계자는 1일 “USTR은 이 보고서를 통해 한국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대부분 상품 관세를 철폐했고 이행위원회·작업반을 통해 현안을 정기적으로 논의하고 있다며 여타국 대비 상대적으로 우호적으로 평가했다”고 분석했다.

USTR은 1985년부터 매년 자국 수출기업의 의견을 모아 60개국에 대한 수출·투자 애로 환경·조치를 정리해 발표해오고 있다. 보고서는 올해도 한국의 관세장벽 현황과 함께 디지털무역과 정부조달, 농산물 시장접근, 약값 등 21건의 비관세조치 현황을 정리해 발표했다.

다만, 보고서에 들어간 비관세 장벽 이슈 역시 미국 산업계가 오래전부터 문제 삼아온 것으로 그 건수도 이전보다 줄었다는 게 산업부의 설명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2023년 이전까지 매년 40건 이상이 지적됐으나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20건대로 줄어든 상황”이라며 “산업부는 USTR이 자국 업계의 의견을 수렴하던 올 2월 정부 의견서를 제출하고 대면 협의를 통해 한국의 비관세장벽이 다른 주요 교역국 대비 결코 높은 수준이 아님을 적극 설명해왔다”고 전했다.

그러나 이번 보고서가 이전과 달리 미국의 대한국 상호관세 부과 조치의 직접적인 근거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당국 역시 긴장을 놓지 않고 있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는 이틀 후인 4월2일(현지시간) 주요국의 미국에 대한 차별적 조치를 이유로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예고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보고서에 제기된 사안에 대해 관계부처 및 이해관계자와 긴밀히 협의해가며 대응 방안 마련을 모색하는 동시에 미국 측과도 실무채널과 한-미 FTA 이행위·작업반 등을 통해 당국의 국내 비관세조치 관련 진전 노력을 설명할 것”이라며 “상호관세 등 주요 현안에 우리 입장을 최대한 반영할 수 있도록 대응하겠다”고 전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