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2일(이하 현지시간) 한국을 비롯한 대부분 국가에 10% 플러스 알파(+α)의 상호관세 부과 계획을 발표했다. 중국은 54%(기존 20% 포함), 베트남 46%, 대만 32%, 일본 24%, 유럽연합(EU) 20% 등이다. 주요국 중에선 25% 관세 부과가 보류 중인 캐나다·멕시코만 빠졌다. 자동차와 철강·알루미늄, 반도체 등은 빠졌지만 이미 25% 품목별 관세가 부과됐거나 부과 예정이다. 이중 10%의 기본관세는 당장 5일부터, 나머지 플러스 알파도 9일부터 발효된다.
우리 경제·산업계에 직·간접 타격이 불가피하다. 당장 반도체를 뺀 전 품목에서 직접적인 대미국 수출 차질이 우려된다.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른 0% 혜택이 사라지는 것은 물론 일본·EU 등 주요 경쟁국 대비 1~4%포인트 높은 관세를 받게 됐다. 아울러 베트남, 캐나다, 멕시코 등 우리 기업의 주요 생산거점의 대미 수출에도 차질을 빚게 됐다. 중국 등 주요국의 대미 보복 조치에 따른 자국 우선주의 심화와 중국발 공급과잉 우려도 심화할 수 있다.
정부와 업계는 간밤 이뤄진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에 따른 우리 기업의 영향과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정부는 우리 기업 피해 최소화를 위한 장관·실무급 대미 협의 계획을 발표하고 업종별 영향 분석과 그에 따른 추가 지원방안도 마련키로 했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는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 경제안보전략 대책반(TF) 회의에서 안 장관에게 상세 내용 분석과 적극적인 대미 협상을 당부한 바 있다.
안 장관은 “산업계와 긴밀히 협력해 미국 관세조치가 우리 경제·산업·수출에 끼치는 영향을 면밀히 분석하고 업종별 지원대책을 마련할 것”이라며 “통상교섭본부장 방미를 포함해 대미 협의도 계속 긴밀히 추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