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과 해상풍력 보급 활성화 특별법,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관리 특별법 등 에너지3법은 지금 통과하지 않더라도 앞으로 5년 정도는 큰 문제가 없을 수 있다. 주요 전력망 건설이나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고준위 방폐물 처리시설은 추진부터 완성까지 짧게는 7~8년, 길게는 10년 이상씩 걸리기 때문이다.
그러나 오랜 시간이 걸려 그 결과가 나타나는 만큼 더 빠르게 움직여야 한다. 당장 추진하지 않으면 2030년 이후 우리 필수 에너지원인 전기 공급에 차질을 빚을 수 있어서다.
전력망 구축은 주민 수용성이 악화하며 10년 전부터 공기업인 한국전력공사가 도맡는 기존 체제의 한계가 명확해졌다는 지적이다. 원전도 2030년 이후부터 부지 내 사용 후 핵연료 처리시설이 차례로 포화한다. 준위 방폐물 최종처리시설 마련 없이는 국내 전력 공급의 30% 이상을 맡은 원전의 가동이 어려운 상황이다.
탄소중립 목표 달성에 필수적인 해상풍력 역시 특별법 없인 제대로 보급할 수 없다는 걸 지난 10년간 충분히 확인했다. 장기적으론 에너지 3법이 국가와 민생, 더불어민주당의 표현을 빌리자면 ‘먹사니즘·잘사니즘’의 기본 바탕인 셈이다.
|
이 과정에서 정치 혼란 탓에 이미 늦을 대로 늦어진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부터 국회 보고를 거쳐 하루 빨리 확정해야 멈춰선 전력 인프라 구축 작업을 재개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안팎으로 중대한 변곡점을 맞고 있다. 혼란한 국내 상황은 차치하더라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0년이 지난 자유무역체제를 뒤흔들며 수출로 먹고 살아온 우리의 존립 기반에 큰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정치가 더는 갈등과 혼란의 매개가 아닌 우리가 마주한 난제 해결의 장으로 작동해야 할 때다. 국민도 누가 우리의 미래를 더 잘 보장해 줄 수 있는 정치 세력인지를 그 어느 때보다 주의 깊게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