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50년까지 30억본 나무 심어 탄소 3400만t 줄인다

박진환 기자I 2021.01.20 11:10:00

산림청, 20일 '2050 탄소중립산림부문 추진전략' 발표
아프리카 등서 REDD+ 통해 500만t 해외탄소감축 추진
구조개선 및 기후수종개발 등 산림 탄소흡수기능 증진

박종호 산림청장이 20일 정부대전청사에서 ‘2050 탄소중립 달성을 위한 산림부문 추진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산림청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정부가 2050년까지 30억본의 나무를 심어 탄소 3400만t을 줄인다는 탄소중립 청사진을 밝혔다.

또 아시아와 아프리카 등 개발도상국에서 250만㏊ 이상의 황폐화 방지사업(REDD+)사업을 통해 연간 500만t의 탄소 감축실적을 해외에서 확보하기로 했다.

산림청은 이 같은 내용의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안)’을 마련, 20일 정부대전청사에서 대국민 보고회를 가졌다.

2018년 기준 국내 산림의 온실가스 흡수량은 연간 4560만t으로 국가 총배출량인 7억 3000만t의 6.3%를 상쇄하고 있다.

그러나 1970~1980년대 치산녹화 시기에 집중적으로 조성한 산림의 노령화가 가속화되면서 현 추세대로라면 2050년 흡수량이 1400만t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에 발표된 ‘2050 탄소중립 산림부문 추진전략(안)’은 30년간 30억그루의 나무를 심어 3400만t의 탄소를 줄인다는 목표이다.

이를 위해 △산림의 탄소흡수력 강화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 △목재와 산림바이오매스의 이용 활성화 △산림탄소흡수원 보전·복원 등 4대 정책 방향을 뒷받침하는 12대 핵심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12대 핵심과제를 계획대로 추진하면 산림의 탄소흡수량은 연간 1400만t에서 2680만t으로 증가하고, 목재 이용에 따른 탄소저장량은 200만t, 화석에너지를 산림바이오매스로 대체함으로써 가능한 탄소배출 감축량은 520만t에 이를 것으로 기대된다.

우선 산림의 탄소흡수능력 강화를 위해 불균형한 산림의 구조 개선 및 기후수종 개발·적용, 경제림 중심의 산림경영을 도모하기로 했다.

오래된 나무를 벌채하고, 새로운 나무를 식재해 조성된 젊어진 숲은 연간 생장량이 증가해 보다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를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 테다소나무, 백합나무, 가시나무류 등 탄소흡수능력과 환경적응력이 우수한 수종의 조림을 확대하고, 우량 종자·묘목의 안정적인 공급체계를 구축하는 등 기후 수종의 적용을 확대하기로 했다.

경제림의 탄소흡수능력 강화를 위해 경제림육성단지가 재편된다.

신규 산림탄소흡수원 확충을 위한 방안으로는 도시·섬·유휴토지 등을 대상으로 신규 산림 조성을 확대하고, 북한 황폐산림 복구 및 해외 산림협력을 통해 국외 탄소흡수원을 확충하기로 했다.

미세먼지 차단숲, 도시바람길숲, 생활밀착형숲 등 다양한 유형의 도시숲을 확충하고, 과학적인 도시숲 관리 및 시민참여 활성화를 통해 도시숲의 탄소흡수기능을 지속해서 유지·관리한다는 방침이다.

섬 지역의 산림 22만㏊에 대한 자생식물 중심의 복원사업 및 환경개선사업을 추진하고, 한계 농지·수변 지역을 대상으로 한 산림조성을 확대한다.

특히 북한의 산림탄소흡수원 증진과 연계한 황폐산림복구 및 황폐화 방지 사업을 통해 탄소배출권을 확보하고, 종자·묘목 등 산림복구 기반을 조성하기로 했다.

아시아와 아프리카, 중남미 등 개발도상국에서 250만㏊ 이상의 황폐화 방지사업(REDD+)사업을 진행해 연간 500만t의 이산화탄소 감축실적을 해외에서 확보하는 동시에 한국을 개도국 황폐화 방지사업(REDD+) 전문인력 양성 및 감축 실적 거래의 허브로 육성하기로 했다.

목재와 산림바이오매스의 이용 활성화도 추진된다.

목재 수요와 공급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해 탄소저장능력이 인정된 목재 이용을 확대하고, 산림바이오매스 산업을 육성한다.

도시 건설, 건축 소재, 생활 소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수요를 창출하고, 생활속 목재이용 문화 확산을 위한 법·제도를 개선해 국산목재 이용을 확대한다.

벌채 후 이용되지 않았던 부산물을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이용하기 위한 산업도 적극적으로 육성한다.

사유림 내 보호지역 지원 정책 강화 및 사유림 매수 확대로 산림보호지역을 확대하고 유형 단순화·보호지역 내 행위제한 완화 등 관련 제도를 개선하며, 맞춤형 현장 관리를 추진함으로써 산림보호지역 관리를 선진화한다.

전국 산림훼손지 정밀조사 및 타당성 평가를 바탕으로 핵심 생태축 산림복원 계획을 수립·추진하고, 산지전용의 원인 분석 및 개선대책 마련을 통해 산림의 탄소배출 저감에 기여하기로 했다.

첨단기술 활용, 부처간 협업 등을 통해 산불·산사태·산림병해충 등 산림재해에 대한 ‘예측-예방-대응’ 전 단계를 고도화하며, 산림재해 저감을 위한 현장 대응인력의 전문성을 제고한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관계부처 협의와 지자체 등 현장과의 소통, 전문가 의견 수렴 등을 거쳐 탄소중립 이행이 신산업과 일자리 창출까지 연계될 수 있도록 추진전략을 보완해 올해 3분기까지 이를 확정할 계획”이라며 “기후위기는 전 지구적이고 범국민적인 과제인 만큼 국민적 관심과 지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