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8일 고용노동부의 6월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상용근로자 1인 이상 사업체의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총액은 388만3000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5.9%(21만7000원) 증가했다.
중소기업인 300인 미만 사업체의 월평균 임금총액은 4.5%(14만7000원) 올랐고, 대기업인 300인 이상 사업체는 10%(56만4000원) 증가했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임금 격차는 276만1000원 수준으로 최근 3년 중 가장 컸다. 고용부는 통신장비 제조업 등에서의 성과급이 증가한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엔 월급보다 물가가 더 올라 4월에 이어 5월도 실질임금이 마이너스다. 실질임금은 명목임금에 소비자물가지수를 나눈 뒤 100으로 나눠 산출한다. 5월 300인 미만 사업체의 명목임금은 329만2000원이고 5월 소비자 물가지수는 전년동기 대비 5.4% 오른 107.56이다. 이에 5월 중소기업 근로자의 실질임금은 306만원으로 임금이 오히려 감소한 것이다.
정향숙 고용부 노동시장조사관장은 “(물가를 반영한) 실질임금은 2개월 연속 마이너스로 나타나고 있고, 누계 임금상승률의 실질임금도 1.5%로 나타나 계속 떨어지고 있다”며 “한국은행 등에서 올해 물가상승률을 4% 후반대로 전망하고 있어서 실질임금 상승률은 낮아질 가능성이 크다”고 설명했다.
◇6월 기준 역대 최대 ‘빈 일자리’…구인난도 가중
이런 상황에서 구인난도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빈 일자리’ 일자리 수가 23만4000명을 기록하면서 6월 기준으로는 조사 이래 최대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1월부터 12월까지 전 구간으로 보면 2018년 2월 이후 최대치다. 빈 일자리는 현재 비어 있거나 1개월 안에 새로 채용될 수 있는 일자리를 의미한다. 구인에도 채용이 충분히 이뤄지지 않아 집계되는 통계로, 구인난 상황을 설명할 때 쓰인다.
|
정 과장은 빈 일자리의 증가 이유에 대해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등으로 인한 고용 충격으로부터의 회복, 일상회복의 영향, 구인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며 “미충원되는 사유로는 실제로 근로자와 구직자가 근로조건이 맞지 않아서 채용되지 않는 경우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임금인상 자제 요청에도…임금發 물가상승 눈앞에
물가 상승으로 인한 실질임금 하락과 빈 일자리 확대는 임금상승 압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이다. 특히 추경호 경제부총리는 지난달 근로자에 대한 임금인상이 물가 상승을 부추길 수 있다며 경영계에 임금 인상을 자제해달라는 의견을 전달하기도 했다.
정 과장은 “실질임금 하락과 구인난은 물가상승률이 높으면 임금 상승에 대한 압박과 인력경쟁으로 이어져 높은 임금상승률이 나타날 수도 있다”며 “다만, 정부와 경영계에서는 과도한 임금인상에 대한 자제라던지 높은 물가상승에 대한 여러 가지 대책들을 마련해서 노력을 병행하고 있어 아직은 지켜봐야 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