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전경련 "미·중 통상전쟁 재점화에 한국기업 대응방안 모색해야"

배진솔 기자I 2020.06.16 14:00:00

전경련, 16일 전문가 좌담회 개최
미·중 패권갈등 속 한국 경제 영향 분석

[이데일리 배진솔 기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이후 재점화된 미·중 갈등이 미국 대선 이후로 장기화할 것으로 예상하면서 한국경제의 타격 최소화를 위한 대응전략 모색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미·중 통상전쟁 재점화, 한국기업의 대응방안’이라는 주제로 전문가 좌담회를 개최했다고 16일 밝혔다. 좌담회에서는 최근 심화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패권 갈등 속에서 한국경제의 영향을 분석하고, 한국기업의 대응전략을 모색했다.

이날 전문가들은 미·중 무역분쟁은 미 대선 결과를 떠나 수년 내에 끝나지 않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특히 대선을 앞둔 3분기에 가장 격화되고 양국 수출의존도가 높은 한국경제에 위험과 기회가 함께 존재하지만 현재 코로나까지 겹쳐 경제타격이 커질 것이라고 했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은 개회사에서 “지난해 한국 수출은 전년대비 10.3% 감소하며 금융위기 이후 가장 큰 감소폭을 기록했다”며 “특히 대중국 수출은 미·중 무역분쟁으로 전년 대비 16% 감소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여기에 코로나 19로 세계 각국이 자국 산업 보호 및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대대적인 보호무역주의 확산을 예고하고 있다”며 “코로나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책임론 공방으로 미·중 갈등이 다시 표출되며 한국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김학균 신영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미·중 갈등이 장기화할 것으로 전망하면서 한국의 리쇼어링(제조업의 본국회귀) 환경에 불리하게 작용할 것을 우려했다. 그는 “한국 기업의 입장에서 미·중 갈등의 틈바구니에서 기회를 찾아야 한다”며 “일부 산업들은 글로벌 경쟁 구도의 재편 과정에서 일부 수혜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주완 포스코경영연구원 연구위원은 미·중 갈등으로 인한 반도체 산업의 영향에 대해 “홍콩의 특별지위 박탈은 반도체 수출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겠지만 화웨이에 대한 제재는 가시적 영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이어 이 연구위원은 “화웨이가 미국과 손을 잡은 대만업체 TSMC를 대신해서 우리 기업에 반도체 생산을 요청할 경우 미국과의 관계를 고려해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 자체가 부담이 될 수 있다”며 “자칫 무리한 거래 확대로 메모리까지 제재대상이 되면 소탐대실의 결과를 낳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패널토론의 좌장을 맡은 최석영 전(前) 제네바대표부 대사는 “정부와 기업은 위험분산을 위해 무역시장의 다변화를 추진하고 리쇼어링과 현지생산방식을 고려한 무역·투자 전략을 종합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권태신 전경련 부회장을 비롯한 참석자들이 16일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에서 열린 ‘미중 통상전쟁 한국 기업 대응방안 세미나’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전국경제인연합회)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