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할아버지와 상봉에 동행했던 남쪽 아들 진황(52) 씨는 8일 대한적십자사 관계자에 이같은 소식을 전하며 “금강산에서 북녘 자식을 보시고 나니 그리움의 한을 놓으신 것 같다”며, “자식 된 도리로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하고 이 소식이 알려져 통일에 작은 도움이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김 할아버지는 지난 2월 20일 금강산에서 64년을 기다린 딸 춘순(68), 아들 진천(65) 씨와 재회한 지 44일 만에 돌아가셨다. 6·25 전쟁 당시 만삭이던 처와 어린 남매를 친척집에 두고 잠시 남쪽으로 내려온 김 할아버지는 북쪽 집으로 돌아가지 못했다.
상봉 당시 “죽더라도 금강산에서 죽겠다”며 구급차 속 침대에 누워 북측 자녀들을 만났지만 그 다음날 건강 악화로 상봉을 중도에 포기하고 조기 귀환했다. 이후 병세가 급격히 악화된 것으로 알려졌다.
|
김 할아버지는 6·25전쟁 참전 군인으로, 국립이천호국원에 안장됐다.
이번 일을 비롯한 이산가족 고령화 문제로 생사확인 등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특히 최근 10년 사이 급속한 고령화로 매년 4000명의 이산가족이 유명을 달리하고 있다.
통일부와 대한적십자사가 공동운영하는 이산가족정보통합시스템에 따르면 1988년부터 올해 2월 28일까지 등록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는 12만9410명이다. 하지만 이 가운데 45.3%에 이르는 5만 8599명이 숨졌으며, 생존자는 7만811명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