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처럼 대장동 수사팀이 성과를 거둘수록 전임 대장동 수사팀의 수사 의지 및 능력을 놓고 의구심이 증폭된다. 지난해 9월 대장동 의혹이 본격화되자 서울중앙지검은 전담수사팀을 만들어 수사에 나섰지만, 성남시청과 이 대표를 배제한 듯한 수사가 계속되면서 ‘부실’ ‘뭉개기’ 수사 논란이 불거졌다.
특히 검찰이 확보한 30시간 분량의 정영학 회계사 녹음파일엔 이 대표가 사건에 관여 했음을 암시하는 발언이 수 차례 등장했는데도 당시 수사팀은 이 대표와 가까운 인물들을 수사 대상에 넣지 않았다. 새 수사팀이 전면 재수사에 착수한 지 4개월 만에 정 전 실장과 김 전 부원장을 구속기소하고, 이 대표까지 수사 사정권에 넣은 것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법조계는 당시 ‘친 정부 성향’ 논란을 빚었던 김오수 전 검찰총장, 이정수 전 중앙지검장 체제에서 수사가 이 대표 등 ‘윗선’으로 확대되는 것을 막은 것 아니냐며 진상조사를 요구하고 있지만, 검찰 관계자는 “현시점에서 말씀드릴 게 없다”며 묵묵부답으로 일관하고 있다. 전임 수사팀이 정치적 의도를 갖고 수사를 벌였다는 사실을 들춰봤자 검찰 조직에 유리할 게 없다는 판단이 깔렸단 해석이 나온다.
서초동의 한 변호사는 “전 수사팀이든 현 수사팀이든 결국 같은 검찰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며 “수뇌부가 누구냐에 따라 수사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은 검찰이 가장 인정하고 싶지 않은 부분일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다른 변호사는 “이 대표, 문재인 전 대통령 등 야권 거물 수사를 앞둔 중차대한 판국에 내부 숙청에 나설 여유는 없을 것”이라며 “지난 인사에서 논란의 인물들을 대부분 좌천시킨 만큼 당장 관련자들을 불러다 조치할 필요성은 느끼지 못하는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