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작년 국부 1경6621조원…토지자산, GDP의 4.6배로 사상 최대

원다연 기자I 2020.07.21 12:00:00

한국은행 '2019년 국민대차대조표' 공개
국민순자산 1경6621조원으로 전년比 6.8% 증가
비금융자산서 토지자산 비중 증가…수도권 쏠림도

15일 서울 롯데월드타워 전망대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송파구 일대 아파트 단지. (사진=연합뉴스)
[이데일리 원다연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전체 부는 1경6621조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8.7배 수준으로 집계됐다. 부동산 가격 상승에 GDP 대비 토지자산의 비율은 역대 최고 수준을 나타냈다.

◇GDP 대비 토지자산 4.6배 역대 최고…수도권 쏠림도 심화

21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9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우리나라 국민순자산은 1경6621조5000억원으로 전년 대비 6.8% 증가했다. 가격 상승 등의 영향으로 토지자산이 크게 늘어난 영향이다.

국부의 96.5%를 차지하는 비금융자산은 전년 대비 6.4% 증가한 1경6041조5000억원, 3.5%를 차지하는 순금융자산(금융자산-금융부채)은 18.9% 늘어난 580조원을 나타냈다.

비금융자산 가운데에는 토지자산이 8767조원으로 전체의 54.7%를 차지했다. 토지자산의 비중은 지난 2013년 53.2%로 저점을 기록한 이후 지가상승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GDP 대비 토지자산 배율은 4.6배로 통계 집계 이후 최고치를 나타냈다. 지난 2007년 4.4배를 기록한 이후 2013년 4배까지 줄었던 GDP 대비 토지자산 배율은 2017년 4.2배, 2018년 4.3배 수준에서 다시 역대 최고 수준으로 확대됐다.

한은 관계자는 “토지자산 증가율은 6.6%로 전년(7.7%)에 비하면 줄었지만, 지난해 GDP 증가율(1.1%)이 전년(3.4%)에 비해 더 크게 줄면서 GDP 대비 토지자산 비중이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토지자산의 수도권 집중 현상도 다시 나타났다. 지난 2018년말 기준 토지자산의 수도권 비중은 56.9%로 집계됐다. 지난 2010년 61.7%에서 하락세를 이어와 지난 2017년에는 56.6%까지 떨어졌던 것에서 다시 상승 전환한 것이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 2012년 세종시가 출범하고 2013년 이후 지방 혁신도시가 개발되면서 토지자산의 수도권 비중이 완화되는 모습을 보였지만 다시 증가했다”며 “수도권 집값 상승의 영향”이라고 밝혔다.
△우리나라의 국민순자산/GDP(명목) 배율. (자료=한국은행)
◇생산활력은 둔화…자본서비스물량 증가율 2년 연속 하락

생산 활력은 떨어졌다. 생산과정에서 자본투입증가율을 나타낸 자본서비스물량 증가율은 둔화했다. 지난해 자본서비스물량 증가율은 3.3%로 2017년 이후 2년 연속 하락세를 지속했다.

건설자산과 설비자산의 실질투자증가율이 각각 -2.5%, -7.5%로 전년에 이어 마이너스 증가율을 나타낸 영향이다. 특히 설비자산의 실질투자 증가율의 마이너스 폭은 전년(-2.3%) 대비 크게 확대됐다.

한은 관계자는 “내용 연수가 짧고 감가상각률이 높아 자본서비스물량 산출효과가 큰 설비투자의 감소가 자본서비스물량 증가율 하락을 이끌었다”고 말했다. 지식재산생산물의 실질투자 증가율 역시 3.3%로 전년(4.4%) 대비 둔화됐다.

△GDP 대비 토지자산 배율. (자료=한국은행)
◇가계·비영리 순자산서 주택 등 비금융자산 비중 77.4%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순자산은 9307조1000억원으로 전년대비 596조원 증가했다. 지난 2018년 주택가격 상승폭이 컸던 기저효과에 주택자산은 증가폭이 전년 361조7000억원에서 325조3000억원으로 다소 축소된 데 비해 금융기관 예치금 증가 등의 영향에 금융자산은 전년 66조원에서 246조8000억원으로 크게 확대됐다. 그럼에도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전체 순자산 가운데 주택과 부동산 등 비금융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77.4%에 달했다.

지난해 가구당 순자산은 4억6268만원으로 추정됐다. 가계 부문의 순자산이 따로 집계되지 않아 가계 및 비영리단체 순자산을 추계가구(2011만6000호) 수로 나눠 추정하는 수치다. 가구당 순자산은 전년(4억3838만원) 대비 5.5% 증가했다. 구매력평가 환율 기준으로는 53만8000달러 수준으로 미국(86만3000달러), 호주(74만2000달러), 캐나다(59만9000달러) 등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프랑스(52만1000달러), 일본(48만6000달러) 등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자료=한국은행)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