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교육부, 전국 50곳에 ‘스터디카페’ 개설 추진

신하영 기자I 2025.04.09 12:00:00

지방·농어촌지역에 자기주도 학습센터 신설
“학습진단·온라인 강의 수강 등 무료 이용”
센터 이용 중·고교생, 대학생 튜터링도 지원

[이데일리 신하영 기자] 오는 9월까지 지방 도시·농어촌 지역 50곳에 자기 주도 학습센터가 개설된다. 스터디카페처럼 학생들이 언제든 찾아와 온라인 강의를 듣거나 학습진단·지도를 받을 수 있는 곳이다.

교육부가 전국 50개 지역에 자기주도학습센터 개설을 추진한다. 사진은 경남 거제 장목예술중학교가 자체적으로 설치한 스터디카페.(사진=장목예중 제공)
교육부는 오는 10일부터 6월 5일까지 전국 시도교육청을 대상으로 자기 주도 학습센터 신규 선정 공모를 진행한다고 9일 밝혔다.

자기 주도 학습센터(학습센터)는 교육부가 올해 업무계획을 통해 예고한 사업으로 사교육 경감을 위해 추진한다. 학교 인근에 마땅한 교육시설·학원이 없는 지방 도시나 농어촌 지역 중·고등학생들이 자율적으로 공부하는 공간을 마련하는 사업이다.

교육부는 희망하는 시도교육청·지방자치단체에 자기 주도 학습센터가 설치되도록 지원한다. 교육발전특구·학교복합시설 사업 등을 통해 리모델링 공사비도 지원받을 수 있다. 지역마다 유휴 공간을 활용, 학교 안 또는 학교 밖에 학습센터를 설치할 수 있다. 올해 예산은 약 52억원으로 교육부는 50곳 내외를 선정, 9월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교육부는 학습센터를 요즘 청소년들이 즐겨 찾는 스터디카페처럼 꾸미도록 할 예정이다. 센터 안에 △개별 열람실 △모둠 학습공간 △휴게실 등을 설치하고, 학생 스스로 학습 수준을 진단하고 그에 맞는 강의를 수강하도록 EBS 교육 콘텐츠를 지원하기로 했다.

특히 한국장학재단의 대학생 청소년교육지원사업을 활용, 중·고등학생이 대학생으로부터 학습 지원을 받게 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아울러 학습 코디네이터(교사자격 소지자)를 배치, 학생들의 학습센터 이용을 지원한다. 교육부는 학습센터 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최대 3년간 지원할 방침이다.

지역 내 학습센터 운영을 희망하는 교육청은 6월 5일까지 교육부 홈페이지를 통해 사업 신청서를 제출하면 된다. 교육부는 선정평가위원회를 구성하고 지역별 시설 확보 여건, 이용 학생 규모 등을 고려해 6월 말 선정 결과를 발표한다. 교육부 관계자는 “학습센터를 어떻게 운영할지에 관한 구체적 계획은 각 교육청·지자체에서 제출하게 될 것”이라며 “교육환경이 열악한 지방 도시나 농어촌 지역을 우선 선정할 방침”이라고 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자기 주도 학습센터 운영을 통해 지역·소득계층 간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사교육 없는 자기주도학습 모델을 창출하도록 지원할 것”이라며 “시도교육청과 지자체가 협업해 우수모델이 창출될 수 있도록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