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서울 용산ㆍ남산 CO2 농도차, 사회적 거리두기 후 77% 줄어

김경은 기자I 2022.04.21 14:32:43

국립환경과학원 "토지이용 형태, 배출 특성 따라 지역별로 편차"
전국적 온실가스 관측의 필요성 커져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서울 도심 한 복판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 농도가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으로 도심숲과 격차가 크게 축소했다는 조사가 나왔다.

21일 국립환경과학원에 따르면 지난해 9월~10월 수도권 6개 지점(서울 5개, 인천 1개)의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 농도를 관측한 결과 평균 439ppm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같은 기간 안면도와 전지구적 배경지역인 하와이 마우나로아와 비교해 각각 22ppm, 27ppm 높은 수준이다.

온실가스 수치는 통상 공기 분자 100만개 중 이산화탄소가 몇 개인지(ppm)로 표기한다. 산업화가 시작될 때 280ppm이었으며, 1958년 하와이 마우나로아 산에서 처음 측정했을 때는 315ppm이었다.

출처: 국립환경과학원
서울 내에서도 지역별로 최대 26ppm(6개 관측지)의 큰 이산화탄소(CO2) 농도 차이가 나타났다. 지점별로는 남산(서울 중구), 관악산(서울 관악구)과 같은 도심숲 지역에서는 각각 426ppm, 428ppm으로 최저 수준을 보인 반면, 서울 도심 중심부에 위치한 용산은 452ppm으로 최고 농도를 보였다. 이산화탄소가 고농도로 발생할 때에는 관측 지역별로 최대 72ppm까지 편차를 보였다.

과학원은 “토지이용 및 배출 특성에 따라 하나의 도시 또는 지역내에서도 지점별로 매우 큰 이산화탄소 농도 차이가 나타난다”고 설명했다.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 시행 효과로도 확인된다.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 거리두기에 따른 효과를 분석한 결과, 서울 도심 내 인간 활동에 따른 이산화탄소(CO2) 농도 증가량(남산과 용산의 농도차)이 사회적 거리두기 정책 시행 이전과 비교했을 때 26.5ppm에서 6.2ppm으로 약 77%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활동량이 줄어들면서 도심과 도심숲의 격차가 크게 줄었다는 얘기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하반기에 농업, 축산, 건물, 도시숲 등 지역의 토지이용 및 배출원에 따른 온실가스의 배출과 흡수 특성을 보다 면밀히 파악하기 위해 온실가스 관측(모니터링) 연구협의체를 2단계로 확대할 예정이다.

정은해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온실가스 농도 관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온실가스 측정 확대 및 강화 계획을 수립하여 2023년부터 전국적으로 측정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립환경과학원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온실가스 관측(모니터링) 확대 강화를 위해 ‘다부처 연구협의체 연찬회(워크숍)’를 22일 서울대에서 개최한다. 전국적인 온실가스 관측의 필요성 등에 대해 논의한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에서는 탄소중립 정책 이행평가, 국가·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 등을 위해 지상, 위성, 항공 등 입체관측 자료를 활용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