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골드만삭스, 켈로그 강세론자로 돌아섰다…왜

유재희 기자I 2023.06.28 15:24:45

골드만, ‘중립’→‘매수’·목표가 78→83달러
우호적인 최종시장노출·강력한 비즈니스 모멘텀 등 차별화
향후 10년간 점유율 확대 전망...높은 밸류에이션 매력

[이데일리 유재희 기자] 시리얼 등 편의식품 제조 업체 켈로그(K)에 대해 그동안 중립적 투자의견을 유지해왔던 골드만삭스가 강세론으로 돌아섰다. 향후 식품산업 전반의 성장 둔화가 예상되는 상황이지만 켈로그는 차별화된 흐름을 나타낼 것이란 이유에서다. 특히 밸류에이션 매력이 높아진 지금이 매수 기회란 주장이다.

27일(현지시간) 미국의 경제전문매체 CNBC와 배런스 등에 따르면 골드만삭스의 제이슨 잉글리쉬 애널리스트는 켈로그에 대한 투자의견을 ‘중립’에서 ‘매수’로 상향 조정하고 목표주가도 종전 78달러에서 83달러로 6.5% 올렸다. 이는 켈로그에 대한 월가 애널리스트들의 목표가 가운데 최상단 가격이다. 이날 켈로그 주가가 전일대비 1.7% 오른 66.7달러에 마감한 것을 고려할 때 앞으로 24.4% 더 오를 수 있다고 본 셈이다. 켈로그는 방어적 성격이 강해 주가 등락이 크지 않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매우 낙관적 투자의견으로 해석할 수 있다.

켈로그는 1906년 설립된 미국의 다국적 식품 제조 회사로 아침식사 대용인 시리얼과 시리얼바, 스낵, 냉동식품 등 편의식품을 주로 생산하고 있다. 전세계 180여개 국가에 진출해 있으며 켈로그 콘플레이크를 비롯해 프링글스, 올브란, 치즈잇, 오스틴, 제스타 등 37개의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다.

매출 구성은 지난해 기준 스낵이 49.5%로 가장 높고 시리얼(34.5%), 국수 및 기타(9%), 냉동식품(7%) 순이다.

제이슨 잉글리쉬는 향후 식품산업 업황에 대해 다소 비관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그는 “최근 몇년간 인플레이션에 따른 높은 가격 결정력을 바탕으로 식품회사들이 매출 성장을 이어왔다”며 “하지만 현재 경제 상황을 고려할 때 가격 하락 압력이 커지고 있고 판매량 증가도 한계가 있는 만큼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켈로그는 다른 식품회사와 다르게 볼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제이슨 잉글리쉬는 “켈로그는 우호적인(안정적이고 방어적인) 최종 시장에 노출돼 있고 강력한 비즈니스 모멘텀을 보유하고 있다”며 “업황과 무관하게 성장할 몇 안 되는 기업 중 한 곳”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10년간 점유율을 높일 수 있는 강력한 잠재력이 있다는 설명이다.

그는 이러한 성장 잠재력에도 밸류에이션이 경쟁사대비 너무 낮다는데 주목했다. 제이슨 잉글리쉬는 “현재 켈로그의 주가수익비율(PER)은 16.4배로 주요 경쟁사들의 PER 21~24배는 물론 식품업종 전체 평균 18.6배보다 낮다”며 “북미 시리얼 사업 분할 관련 비용 우려 등이 과도하게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켈로그는 지난해 6월 기업 분할 계획을 공식화했다. 사업부문별 경쟁력을 강화하고 민첩한 회사로 거듭나기 위해 글로벌 스낵, 북미 시리얼, 식물성 식품 등 3개 기업으로 올해 연말까지 기업 분할을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최근 성장세가 두드러지고 있는 스낵 부문에 더욱 집중할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시장에서는 북미 시리얼 부문과 관련해 분사에 따른 비용 부담 및 성장 둔화 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켈로그 주가는 올들어 6.4% 하락하며 시장수익률을 크게 밑돌고 있다. 하지만 이런 점이 투자 매력을 높이고 있다는 게 제이슨 잉글리쉬의 판단이다.

그는 “켈로그는 2018년 이후 순수(인수, 분할, 외환 등 영향을 제거한) 매출 성장세가 견고하게 나타나고 있다”며 “기업 분할을 완료하고 내년 사업이 완전 정상화되면 4~5%의 매출 성장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켈로그에 대한 월가 전반의 평가는 ‘중립’의견이 우세하다. 애널리스트 20명 중 매수(시장수익률 상회 및 비중확대 등 포함) 의견은 3명(15%)에 불과하고 중립 의견이 14명으로 70%에 달한다. 평균 목표주가는 72.32달러로 이날 종가보다 8.4% 높다.

한편 켈로그는 주가 변동성이 크지 않고 견고한 배당흐름으로 배당 투자자들이 주목하는 기업 중 하나다. 지난해 기준 배당수익률은 3.4%이며 올해 3분기에 주당 배당금이 인상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