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 용인팹 조기 착공"…尹정부, 삼성에 힘싣는다

최영지 기자I 2023.06.27 17:02:04

국토부, ‘제3차 범정부 추진지원단 회의’ 개최
원희룡 "반도체 주도권 확보위해 정부·민간 역량 집중"
2026년말 착공 부지조성 7년→5년…2026년말 착공
용수·전력 구축 지원…삼성, 캐파 적기 확보

[이데일리 최영지 김아름 기자] 정부·지자체와 삼성전자가 세계 최대 반도체 클러스터로 거듭날 용인 반도체 국가산업단지 조기 착공을 위해 힘을 모은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공사기간을 2년가량 단축시킴으로써 우리나라 첨단반도체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을 신속하게 조성하면 삼성전자도 이에 부응해 생산량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데 매진하겠다는 계획이다.

27일 오후 경기도 용인특례시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열린 ‘용인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단 성공을 위한 제3차 범정부 추진지원단 회의’에서 협약식 후 원희룡 국토교통부장관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국토교통부는 27일 경기 용인 삼성전자 기흥캠퍼스에서 경기도, 용인시, 기획재정부, 산업통상자원부, 환경부 등 지자체 및 관계부처와 함께 ‘제3차 범정부 추진지원단 회의’를 열고 용인 반도체 산단 조성을 위한 각종 지원 전략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우선 정부는 착공 이후 7년가량 소요되는 부지조성 공사 사업기간을 5년으로 줄이기로 했다. 착공 목표 시기는 2026년 말로 정했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글로벌 반도체 경쟁 속에 우위를 점하려면 세계 최대 규모의 첨단 시스템 반도체 클러스터를 조기 구축해, 경쟁국보다 선제적인 생산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 시급하다는 판단에서다.

국토부는 이어 중앙정부와 경기도, 용인시 등이 국가산단 조기착공을 위해 과감하고 신속한 정책적 지원을 할 것을 약속했다. 그린벨트와 농지 등 입지규제 사전 협의와 예비타당성조사 신속 통과 등을 추진함으로써 전기, 용수, 도로 등 반도체 생산에 핵심이 되는 인프라를 적기에 확보할 수 있게 지원한다는 것이다.

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치열한 글로벌 경쟁 속에서 우리나라가 미래 반도체 주도권을 확보할 수 있도록 중앙·지방정부와 민간이 함께 역량을 집중해야 할 때”라며 “용인 국가산단이 속도감 있게 추진될 수 있도록 시행자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와 함께 예타 등 필요한 행정절차에 빈틈없이 하고, 지자체 및 삼성전자와 협업을 통해 산단계획 수립에서부터 기업의 수요를 반영할 것”이라고 밝혔다.

회의 이후 국토부, 경기도, 용인시와 시행자인 LH, 삼성전자(005930)는 ‘용인 국가산단 성공 추진을 위한 기본 및 입주협약’을 체결하고 신속한 예타추진 및 수요 맞춤형 산단 조성을 위해 뜻을 모았다.

경계현 사장은 “반도체가 국가산업 경쟁력 및 경제안보의 핵심자산으로 급부상함에 따라, 글로벌 주요국들은 자국 반도체산업 육성에 사활을 걸고 있다”며 “최근 글로벌 첨단산업에 대한 패권경쟁이 격화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가 반도체 시장점유율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신규 용인 국가산단의 조기 착공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했다.

삼성전자에 따르면 용인 국가산단 전력을 2030년 말 가동시키려면 0.4GW(기가와트)가 우선 필요하다. 2042년 5개 생산라인 가동시 필요한 전력은 7GW 이상으로 추산된다. 용수의 경우 2030년 말 가동을 위해서는 일 3만톤(t)을 시작으로 2042년까지 일 65만t 이상이 예상된다. 하루 평균 4만명 이상의 건설인력이 산업단지로 출퇴근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인접 도로망 확보 등 정교한 교통 계획 수립도 필요한 상황이다.

삼성전자는 정부·지자체 중심의 용수·전력 인프라 구축과 별도로 수원·화성·오산 등 지자체와 공공하수 재이용을 위한 업무협약(MOU)을 체결했다. 향후 수처리 기술을 고도화해 공업용수 사용량을 최소화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2020년 0.7억t, 2021년 0.94억t 등 매년 용수 재사용량을 늘리고 있으며 오염물질 저감 기술도 지속 개발 중이다.

앞서 삼성전자는 지난 3월 용인 남사읍 일원 215만평 부지에 오는 2042년까지 300조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이같은 계획을 토대로 해당 부지에 5개 이상 반도체 팹을 순차적으로 건설할 계획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