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나카 데루미 히단쿄 대표는 이날 노르웨이 오슬로 시청에서 열린 노벨평화상 시상식에서 히단쿄가 출범했을 때 두 가지 기본 요구사항이 있었다면서 다음과 같이 밝혔다.
그는 “첫 번째는 전쟁을 시작하고 수행한 국가가 원폭에 의한 피해에 대해 희생자에게 보상해야 한다는 것”이라며 “이는 ‘전쟁의 희생은 온 국가가 평등하게 감내해야 한다’는 일본 정부의 주장에 반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다른 하나의 요구사항은 인류와 공존해서는 안 되는 극도로 비인도적인 대량파괴 무기인 핵무기의 즉각적 폐기를 요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다카카 대표는 1956년 히단쿄가 만들어져 1994년 12월 원폭 피해자 원호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경위를 설명하면서도 “수십만명 사망자에 대한 보상은 전혀 이뤄지지 않았으며 일본정부는 국가 보상을 일관되게 거부하고 방사선 피해에 국한된 대책만을 현재까지도 계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 법률들은 오랫동안 국적에 관계없이 해외 거주 원폭 피해자들에게는 적용되지 않았다”며 “일본에서 피폭된 후 고국으로 돌아간 한국 피해자들, 전후 미국, 브라질, 멕시코, 캐나다 등으로 이주한 많은 피폭자들이 원폭 피해로 인한 질병을 안고 살면서도 그 피해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고통받아야 했다”고 말했다.
다나카 대표는 “이들은 각국에서 원폭 피해자 모임을 결성하고 저희와 연대해 법적 소송과 공동행동 등을 통해 문제를 알렸으며 국내와 거의 동일한 원호가 이뤄지도록 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다나카 대표는 국제연합(UN)이 2017년 핵무기 금지 조약을 채택하게 된 과정에 히단쿄가 기여한 경위도 소개하며 “이제 원폭 피해자들의 진심 어린 소망은 핵무기 보유와 사용을 전제로 한 핵 억제론이 아닌 핵무기를 단 한 발도 가져서는 안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다나카 대표는 이어 “지금 당장 발사할 수 있는 핵탄두가 4000개나 있다”며 “여러분이 피해자가 될 수도, 가해자가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과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속에서 핵 위협이 이뤄지고 상황에 대해 “무한한 분노와 애통함을 느낀다”고도 말했다.
다나카 대표는 “원폭피해자들이 현재 평균 연령은 85세. 앞으로 10년이 지나면 직접 체험자로 증언할 수 있는 사람은 얼마 남지 않았다”며 차세대의 핵 무기 페지에 대한 관심을 촉구했다. 그는 이와 관련 NPO ‘노 모어(No more) 피폭자 기억유산을 계승하는 모임’의 활동에도 관심을 가져달라고 당부했다.
다나카 대표는 “핵 보유국과 그 동맹국 시민 사이에 ‘핵무기는 인류와 공존할 수 없고, 공존해서도 안된다’는 신념이 뿌리내릴 수 있길 바란다”며 “이 신념이 자국정부의 핵 정책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이 되길 간절히 바란다”고 강조했다.
이날 노벨평화상 시상식에는 정원술 한국원폭피해자협회장과 이태재 피해자후손회장 등 한국 원폭피해자들이 함께 참석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다나카 대표는 9일 노벨 연구소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한국인 원폭 피해자들과 수년간 함께 핵무기에 반대하는 싸움을 해왔다”고 말했다.
한편, 같은 날 일본 정부는 히단쿄의 노벨평화상 수상에 대해 매우 의미 있다고 강조하면서도 안보상 미국의 확장억제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일본 정부 대변인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이날 회견에서 “히단쿄가 노벨평화상이라는 명예로운 상을 받는 것은 매우 의미 있다”며 “오랜 노력에 진심으로 경의를 표하고 수상에 축하의 마음을 전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그는 히단쿄가 주장해 온 ‘핵무기 없는 세상’에 대해 일본 정부는 다른 입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히 했다. 하야시 장관은 “핵·미사일 개발을 추진하는 북한을 비롯해 일본이 전후 가장 엄중하고 복잡한 안보 환경에 직면해 있는 상황에서 핵을 포함한 억지가 안전보장을 확보해 가는 데 기초가 된다는 생각에 변함이 없다”고 강조했다. 또 미국과 확장억제 협의를 통해 “신뢰성을 유지,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나카타니 겐 방위상도 이날 회견에서 히단쿄의 노벨평화상 수상에 환영의 뜻을 나타내는 한편 “현실에 핵무기 위협이 존재하는 상황에서 미국이 제공하는 확장억제는 불가결 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