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교대 출신의 독립연구원인 이수빈 씨를 주축으로 한 연구팀은 1억 년 전 백악기 시기 한반도에서 만들어진 진주층 곤충 화석을 연구한 결과를 최근 국제학술지 ‘백악기 연구(Cretaceous Research)’에 게재했다.
|
연구팀은 진주층 표본들을 연구하면서 경남 사천과 대구 달성군에 분포한 우메노콜레우스과 곤충에 주목했다. 우메노콜레우스과는 남미, 유럽, 아시아에서 발견되는 곤충의 한 분류군이다. 이 곤충은 학계에서 생김새가 딱정벌레와 매우 흡사해 딱정벌레의 한 종류라는 의견부터 바퀴벌레의 한 종류라는 의견 등 여러 주장이 있었다. 현재는 바퀴벌레와 흰개미, 사마귀를 포함하는 분류군인 ‘망시상목’이라는 분류군에 속한 것으로 정리됐다.
이번 연구에서 연구팀은 총 3종류의 우메노콜레우스과에 속하는 곤충을 발견하고 △우메노콜레우스 미니무스(Umenocoleus minimus) △세우도블라타프테릭스 워니(Pseudoblattapterix weoni) △페트로프테릭스 코레아넨시스(Petropterix koreaensis)라고 명명했다.
|
이수빈씨는 “곤충의 이름 중 워니는 원병묵 교수의 이름에서 따와 지었다”며 “연구실 제공, 장비 대여 등 여러 가지로 도움을 많이 받았기에 감사의 마음을 담았다”고 설명했다.
이 밖에 연구팀은 곤충 화석들을 관찰하면서 우메노콜레우스과와 이 종류와 가까운 친척인 알리에노프테릭스과에서 공통적으로 관측되는 특징들도 발견해 논문에 수록했다.
이수빈씨는 “과거 호숫가에서 살았던 공룡, 물고기, 곤충 등 수많은 생물들의 흔적이 진주층 화석으로 발견됐는데 아직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라며 “이번 연구를 통해 ‘우메노콜레우스’과 곤충을 처음 우리나라에서 발견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