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날로 1년7개월 간의 카카오 대표이사직에서 물러난 홍은택 전 대표는 정 대표에 대해 “카카오 사업 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와 IT분야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 경험을 활용해 카카오의 성장 규모에 맞는 시스템과 체계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며 “사회적 기대 수준에 부합하는 경영쇄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추켜세웠다.
새롭게 카카오를 이끌게 될 정 대표는 경영쇄신과 새 성장동력 확보라는 막중한 임무를 안게 됐다. 그는 지난해 12월 차기 대표이사 내정자에 오른 후 창업자인 김범수 경영쇄신위원장과 함께 카카오의 최고 전략조직인 CA협의체 공동의장을 맡으며 직원들과의 소통 등에 나서며 취임 준비작업을 해왔다. 이제 내정자 신분을 벗어난 만큼 본격적인 쇄신 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보인다.
◇최악 위기 속 카카오 정상궤도 복구시켜야
카카오는 현재 창사 이래 최악의 위기에 직면해 있는 상황이다. 그룹의 미래 성장 동력을 위해 치열한 경쟁을 뚫고 SM엔터테인먼트를 인수했지만 인수 과정에서의 시세조종 혐의로 그룹의 재무를 총괄하던 배재현 전 투자총괄대표가 구속기소된 데 이어, 김범수 위원장 역시 검찰 수사를 받고 있다. 이와 함께 택시 시장을 주도하던 카카오모빌리티의 경우 분식회계 혐의로 금융감독원으로부터 대표이사 해임 권고를 받고, 검찰 고발을 예고한 상황이다.
이 같은 위기 속에서 카카오는 대대적 경영쇄신에 나서겠다고 밝히고 있지만, 회전문 인사 논란 등이 재연되며 신뢰회복까지는 첩첩산중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금감원의 해임 권고에도 지난 27일 류긍선 카카오모빌리티 대표이사의 연임을 확정하며 정면돌파한데 이어, 수십억원 규모의 스톡옵션 먹튀 논란을 촉발했던 정규돈 전 카카오뱅크 CTO를 카카오의 새 CTO로 내정하자 인적쇄신 의지에 대한 의구심이 커진 상태다.
사내에서도 인적쇄신 요구가 나오고 있다. 카카오 노동조합은 이날 주총장 인근에서 집회를 열고 최근 인사 논란에 대해 “쇄신의 방향성을 잃었다”고 성토하며 정신아 대표에게 인적쇄신과 명확한 인사원칙 수립을 촉구했다.
카카오 노조는 “임원 선임에 있어 회사의 사업적 특성, 조직문화 등은 고려되지 않고 인맥 기반의 회전문 인사가 반복되고 있다”며 “이러한 ‘핵관(핵심관계) 리더십‘으로 인해 카카오 공동체 전반의 사업 위기 및 재무적 피해가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자율경영 포기…그룹 리더로서의 역량도 발휘해야
정신아 대표는 아울러 기존 대표이사들과 달리 카카오 법인이 아닌 카카오 그룹 전체를 이끌어가는 리더로서의 역량도 발휘해야 하는 숙제도 안고 있다. 카카오는 최근 계속된 논란을 거치며 계열사 자율경영을 폐기하고 CA협의체 중심의 그룹 중심 경영 체제로의 전환을 선언한 상태다. CA협의체 공동의장인 정 대표로서는 카카오 그룹 전체의 성장 방향성을 제시해야 하는 것이다.
정 대표는 아울러 미래 먹거리 마련에도 나서야 한다. 코로나19 팬데믹 시기까지 폭발적으로 성장해온 카카오는 인공지능(AI) 시대에 뒤쳐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생성형 AI의 홍수 속에서 여전히 제대로 된 기술력을 확보하지 못한 것이다.
테크 기업에게 AI가 가장 핵심적 기술로 평가받는 상황에서 빠르게 기술력을 따라잡지 못할 경우 미래 성장 동력에 치명타를 입게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내부에 자리잡고 있다. 홍은택 전 대표도 이날 주총 후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지금 트렌드의 큰 변화는 AI다. AI시대를 카카오가 잘 준비한다면 카카오의 성장성은 충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대표는 지난해 12월 대표이사 내정 당시 카카오가 밝힌대로 과감한 혁신을 통해 카카오에 대한 사회적 불신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그는 대표 내정 당시 “사회의 기대와 눈높이에 맞출 수 있도록 성장만을 위한 자율경영이 아닌 적극적인 책임 경영을 실행하고, 미래 핵심사업 분야에 더욱 집중하겠다. 카카오에게 주어진 시간이 많지 않기에 변화의 타이밍을 놓치지 않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