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은행이 8일 발표한 ‘2020년 중 자금순환(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운용 규모는 192조1000억원으로 나타났다. 순자금운용은 가계가 예금·채권·보험·연금 준비금으로 굴린 돈(자금 운용)에서 금융기관 대출금(자금 조달)을 뺀 금액으로, 여유 자금으로 통한다. 자금운용액이 조달액보다 크면 순자금운용이고, 반대면 순자금조달이다.
가계의 연중 처분가능소득은 2019년(92조2000억원)에 비해 100조원 가까이 늘었는데 민간의 최종소비지출은 오히려 줄어들었다. 이는 정부로부터의 이전소득 등으로 소득은 증가했지만 코로나19로 대면서비스 중심 직접 소비가 줄고 주식, 부동산 등으로 투자 수요가 몰린 탓이다. 가구당 월평균 가계 처분가능소득은 2019년 408만2000원에서 지난해 425만7000원으로 약 200만원 가량 늘었다. 반면 같은 기간 민간최종소비지출은 931조7000억원에서 894조1000억원으로 줄었다.
가계의 자금은 저금리 기조 하에서 주식 등 고수익 금융자산으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 정부 이전소득 등으로 가계 결제성 예금이 42조4000억원 증가해 통계 편제 이후 최대 증가폭을 보인 가운데, 연중 거주자발행주식 및 출자지분(63조2000억원)과 해외주식 취득액(20조1000억원)도 최대치를 보였다. 이로 인해 지난해 연중 가계금융 자산(4539조4000억원) 중 주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4.1%포인트 증가한 19.4%로 가장 큰 폭 증가했다. 주식과 투자펀드를 합한 비율은 3.7%포인트 증가한 21.8%로 나타났다. 반면 예금과 채권 비중은 각각 1.5%포인트, 0.2%포인트 줄었다.
방중권 한국은행 경제통계국 자금순환팀 팀장은 “은행 대출은 조달과 운용 동시에 잡히고, 월급으로 주식 투자를 할 경우는 운용 쪽에만 잡히는데 이 때문에 운용보다 조달 규모가 더 클 수 있다”면서 “이 때문에 빚투를 단정하긴 어렵지만 가계의 주식 비중이 크게 늘어난 것은 사실이며 지난해 가계자금 조달과 운용이 동시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말했다.
|
기업 역시 지난해 코로나19 위기에서 살아남기 위해 역대 최대 대출을 받는 등 유동성 확보에 총력을 쏟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지난해 연중 단기대출(37조3000억원), 장기대출(122조5000억원) 증가분 통계편제 이후 최대를 기록했다.
대출이 증가한 만큼 단기 운전자금과 장기 시설자금 수요도 확대되며 지난해 비금융 법인기업의 순자금조달은 88조3000억원으로 1년 전 보다 27조2000억원 가량 늘었다. 기업 부문의 사택 건설, 기계설비, 공장의 건설 등이 포함된 민간총고정자본형성 금액은 지난해 496조5000억원으로 20조원 가까이 투자를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전기전자 업종 중심으로 기업의 영업이익도 함께 개선됐다. 비연결 금융업을 제외한 상장기업의 지난해 영업이익은 76조9000억원으로 전년(64조4000억원)에 비해 늘었다.
지난해 재정으로 가계·기업 떠받친 정부는 2019년 29조5000억원 순운용에서 27조1000억원 순조달로 전환했다. 정부의 순자금조달액은 2009년 금융위기(15조원 순조달) 이후 최대다.
지난해 정부의 최종소비지출은 20조4000억원 증가한 349조7000억원, 정부 투자인 총고정자본형성은 3조2000억원 증가한 101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코로나19로 인한 이전지출인 보조금및경상이전지출은 지난해 1월~11월까지 333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291조8000억원) 41조6000억원 증가했다.
한편 지난해 말 기준 총금융자산은 2경764조9000억원으로 집계돼 사상 처음으로 2경을 돌파했다. 전년말보다 2163조8000억원(11.6%) 늘었다. 총금융자산은 자금순환 통계에 나타나는 모든 경제부문이 보유한 금융자산의 합계로 국내는 물론 국외(비거주자)의 자산까지 포함한다. 이중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의 비중이 전년에 비해 2%포인트 상승했고, 채권 비중은 0.7%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금융자산 대비 금융부채 배율(2.21배)은 주식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말(2.12배)보다 상승했다.
방중권 팀장은 “금융위기 당시보다 지난해 정부의 조달 규모가 더 커진 것은 경제규모 성장에 따른 영향이 큰 것으로 보이며, 코로나19 이후 정부가 가계에 이전조달 등을 많이 했다. 자금순환 통계에서는 세수를 제외한 채권 발행 등을 통한 조달액만 잡힌다”고 설명했다.
이어 “또한 지난해 모든 경제부문이 보유한 금융자산 합계에서 증감 비율이 지난해 11.6%로 나타나 예년 한자릿수 증가에 비해 가파르게 증가한 것은 주식가격 상승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