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체적으로 경부선 일대는 △경부선(서울역~석수역) △경인선(구로역~오류동역) △경의선(가좌역~서울역) △경원선 일부(효창공원역~서빙고역) 노선이다.
경원선 일대는 △경원선(서빙고역~도봉산역) △중앙선(청량리역~양원역) △경춘선(망우역~신내역) 이다. 경원선의 경우 일부 지역은 위치상 경부선 일대에 포함됐다.
우선 선형의 선로부지는 대규모 녹지네트워크를 조성한다. 아울러 역사부지는 업무시설, 상업시설, 문화시설 등이 포함된 복합개발로 도시발전의 큰 축을 담당하는 ‘신경제코어’로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역사부지는 사업성 확보를 위해 주변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용도지역 상향 등 도시계획 지원방안도 함께 적용할 예정이다.
기술적 검토를 토대로 산출한 지하화 사업비는 총 25조 6000억원이며, 상부 공간 전체 개발이익은 31조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된다. 구간별로는 경부선 구간 약 22조 9000억원, 경원선 구간 약 8조 1000억원이다. 개발이익을 바탕으로 한 사업비 조달 비율은 121%로 별도의 예산 투입 없이 사업이 가능하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현재 서울 시내 철도 지상구간은 6개 노선, 약 71.6㎞다. 과거 철도는 도시 성장을 견인하는 핵심 기반 시설이었지만 지금은 공해 유발, 생활권 단절, 주변 지역 노후화 등 도시발전을 저해하고 있다는 게 서울시의 지적이다. 특히 철도 지상 구간은 서울 내에서도 상대적으로 낙후된 서남권과 동북권을 관통해 균형발전을 위한 지하화 필요성이 꾸준히 제기돼 왔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올해 1월 ‘철도지하화 및 철도부지 통합개발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면서 철도지하화 실현 여건이 마련됐다. 사업은 국토교통부가 철도지하화 통합개발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이어 지자체가 ‘노선별 기본계획’을 수립하면 사업시행자가 개별로 사업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시는 이날 발표한 계획을 오는 25일 국토부에 제안할 예정이며, 각 지자체의 제안을 받은 국토부는 올해 말 선도사업지를 선정한다. 서울시는 선도사업지로 선정되면 2027년부터 사업을 시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은 그 어느 지역보다 철도지하화에 대한 시민 염원이 크고, 지하화에 따른 변화와 발전으로 도시경쟁력이 크게 높아질 수 있는 도시”라며 “국토부와 지속적인 협의를 통해 시민 생활 개선은 물론 서울의 도시경쟁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하도록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