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정부가 산림분야에 디지털·비대면 기술을 도입하는 등 2030년까지 한국판 산림뉴딜로 연간 2만 8000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한다.
또 목재친화형 도시를 국토교통부의 지역 특화 재생사업모델에 포함시키고, 도시숲을 치유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치유의 숲 조성을 위한 규제 완화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2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2030년까지의 K-포레스트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숲에서 찾는 새로운 일상’이라는 비전으로 △디지털·비대면 산림분야 도입 △저성장 시대, 산림산업 활력 촉진 △임업인 소득안전망 구축 △기후위기 시대 지속가능한 산림관리 등 4대 뉴노멀(새 일상) 전략이다.
우선 첨단기술을 활용한 정밀 산림데이터의 수집·분석·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그간 수기로 관리하던 산림자원·경영 데이터를 전산화한다.
국가온실가스 감축실적에 산림경영 공간정보를 활용하는 등 산림데이터의 활용가치를 높이는 한편 민간에 개방해 창업과 일자리 창출을 촉진하기로 했다.
정보통신기술(ICT)을 적용한 스마트 산림복지시설을 조성하고, 산림치유 장소와 치유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스마트 산림복지-건강관리(헬스케어)’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기후변화로 대규모화 되고 있는 산불, 산사태, 산림병해충과 같은 산림재해 대응에도 무인기(드론)와 인공지능(AI) 같은 첨단기술을 접목한 ‘지능형산림재해관리시스템’을 도입한다.
이어 신시장 개척, 일자리 창출 등 다양한 정책 개발로 저성장 시대, 산림산업의 활력을 촉진한다는 방침이다.
친환경 소재와 친환경 먹거리인 목재·임산물의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목재친화형 도시를 국토부의 지역 특화 재생사업모델에 포함하고, 학교 급식에 청정임산물을 활용하는 등 친환경시장을 개척한다.
도시숲을 치유공간으로 활용하기 위해 치유의 숲 조성을 위한 면적 규제를 기존 30㏊ 이상에서 5㏊ 이상으로 완화하고, 생활권 산림교육치유 프로그램을 개발·보급한다.
바이오산업 원료물질의 안정적인 공급체계를 구축하고, 신소재 개발을 위한 연구개발(R&D)을 추진하는 등 신산업도 육성한다.
실업자, 일시휴직자 대상 공공부문 일자리 5000여개를 긴급 지원하고, 지역 기반의 지속가능한 산림형 사회적 경제 일자리 창출 모델을 지속적으로 개발·보급하기로 했다.
또 산림자원법 전부 개정, 산림분야 세제개편 논의 등 실효성 있는 정책 추진으로 임업인의 소득안전망을 구축한다.
임업경영의 규모화를 위해 경제림육성단지를 재편하고, 보조율 차등 적용 등의 내용을 포함한 산림자원법 전부 개정을 추진한다.
이와 함께 기후위기 시대의 지속가능한 산림관리가 이뤄질 수 있도록 기후변화 대응 역량을 강화한다.
산림의 탄소 흡수·감축 기능을 증진하기 위해 다양한 도시숲을 조성하고, 수종갱신과 숲가꾸기를 실시한다.
우리나라 주도의 국제이니셔티브 이행 및 양자·다자 협력을 강화하고, 내년으로 예정된 세계산림총회(WFC) 등을 통해 한국의 녹화성공 사례를 전 세계 확산시킬 계획이다.
산불특수진화대를 정예요원으로 육성하고, 야간 산불진화 역량을 강화하는 등의 내용이 담긴 ‘신(新) 산림재해 대책’을 추진해 산림의 건강성 증진도 도모한다.
산림청은 K-포레스트 추진계획이 원활히 추진될 경우 올해부터 2030년까지 고용유발효과는 연평균 2만 8000명으로 추산했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지난 국제통화기금(IMF) 경제위기 시에도 산림청은 숲가꾸기 사업 등을 통해 공공일자리 창출에 앞장서왔다”면서 “이번 코로나19로 인한 위기극복을 위해 K-포레스트 추진계획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