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이 할아버지는 “보상을 못 받아서 재판했는데 결과만 받았다. 살아있을 때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박 장관이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를 만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할아버지는 자택 달력의 이날 날짜에는 동그라미 표시와 함께 ‘방문’이라는 메모가 적혀 있었다. 이번 만남은 광주에서 활동하는 피해자 지원단체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이하 시민모임)과의 연락을 통해 성사됐다.
|
양 할머니는 박 장관에게 자필 편지를 전달했다. 편지에서 양 할머니는 “초등학교 6학년 때 일본에 가면 중학교 보내준다고 하기에 갔는데 전부 거짓말이었다”며 “죽도록 일만 했지, 돈은 1원 한 장 받지 못했다”고 떠올렸다. 이어 “근로정신대가 뭔지도 몰랐다”며 “결혼해서도 하루도 편한 날이 없이 남편의 구박을 들었고, 시장에 나가면 사람들이 몇 놈이나 상대했느냐고 놀렸다”고 울분을 전했다. 이어 “그동안 흘린 눈물이 배 한 척 띄우고도 남았을 것”이라고도 말했다.
양 할머니는 “돈 때문이라면 진작 포기했다. 나는 일본에서 사죄받기 전에는 죽어도 죽지 못하겠다”며 “미쓰비시가 사죄하고 돈도 내놓아야 한다. 다른 사람이 대신 주면 나는 무엇이 되겠냐. 나를 얼마나 무시하겠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대법원 승소 판결이 난 뒤 몇 년째 우리 정부는 무슨 말 한마디 못 하고 있다”며 “무엇이 무서워서 말을 못 하는 것이냐. 우리나라 대통령에게 내 말을 전해주길 부탁한다”고 덧붙였다.
두 피해자를 면담한 박 장관은 취재진과 만나 “두 분의 말씀을 하나도 빼지 않고 귀담아 듣고, 지금 현재 마음에 담고 계신 이야기를 생생하게 잘 들었다”며 “앞으로 오늘 피해자 분들을 직접 만난 것을 바탕으로 최대한 조속히, 진정성과 긴장감을 갖고 임해 강제동원 문제를 풀겠다”고 말했다.
대법원은 지난 2018년 10월 신일본제철이 이춘식 할아버지 등 강제동원 피해자 4명에게 각기 배상금 1억 원을 지급하라고 판결을 내렸다. 그러나 일본 전범기업이 배상을 사실상 거부, 법원에서 피고 기업의 국내 자산 현금화를 위한 절차를 거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