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희비 갈린 삼성·LG…반도체에 울고 가전에 웃다

김응열 기자I 2023.04.07 15:53:25

LG전자 1Q 영업익 1.5조…14년 만에 삼성전자 추월
물류비 정상화에 플랫폼 등 가전·TV 수익개선 주효
메모리 한파 속 삼성 영업익 6000억…적자 겨우 면해
삼성전자 메모리 감산 동참…하반기 ''업턴'' 기대감

[이데일리 김응열 최영지 기자] 삼성전자(005930)LG전자(066570)가 올해 1분기 잠정실적을 7일에 나란히 발표했으나 두 회사간 희비는 엇갈렸다. 지독한 한파를 맞고 있는 반도체로 인해 삼성전자는 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 아래로 급락했다. 반면, LG전자는 가전과 TV의 선전으로 불황 속에서도 1조5000억원에 가까운 영업이익을 올리며 예상을 웃돈 실적을 거뒀다. 삼성전자 분기 영업이익이 1조원을 밑돈 것도, LG전자가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을 앞지른 것도 14년 만에 처음이다.

서울시 서초구 삼성전자 서초사옥(왼쪽)과 여의도 LG트윈타워. (사진=이데일리 DB)
불황 속 선방한 LG전자…증권가 예상 넘은 호실적

이날 LG전자는 1분기 연결기준 매출액이 20조4178억원, 영업이익은 1조4974억원으로 잠정집계됐다고 공시했다.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하면 매출액은 2.6% 감소했고 영업이익은 22.9% 줄었다.

매출액은 시장 전망치를 1.6% 하회했다. 시장에서 본 LG전자 1분기 매출은 20조7540억원이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컨센서스를 웃돌았다. 증권가에서는 1조1149억원을 예상했으나 실제 실적은 이보다 34.3% 높게 나왔다. 경기 불확실성이 큰 상황인데도 선방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나 삼성전자의 1분기 잠정 영업이익 6000억원을 2배 넘게 웃돌았다. LG전자 분기 영업이익이 삼성전자를 넘은 건 지난 2009년 1분기 이후 14년 만이다.

가전·TV 수익 개선, 흑자 달리는 전장…B2B도 흑자전환

LG전자는 이날 사업부별 구체적 수치를 공개하지는 않았다. 다만 생활가전을 담당하는 H&A사업본부는 수요 감소에도 불구하고 원자재와 물류비용 정상화 덕에 수익성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된다. 아울러 유럽 등 선진시장의 에너지규제에 대응해 히트펌프와 같은 고효율 제품을 앞세워 B2B 사업을 확대한 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볼륨존(Volume Zone·가장 큰 소비 수요를 보이는 대중소비시장) 시장을 공략한 것도 견조한 실적을 올린 배경이 됐다.

TV 사업을 맡고 있는 HE사업본부는 3개분기 만에 흑자전환한 것으로 보인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등 유럽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길어지면서 TV 수요는 여전히 적은 상황이지만, 웹(web)OS 플랫폼을 앞세워 ‘논-하드웨어(Non-HW)’ 영역에서 성장을 지속했다.

LG 올레드 에보(OLED evo, 모델명 G3). (사진=LG전자)
작년 2분기 흑자전환에 성공한 VS(전장)사업본부도 본격적인 성장궤도에 오르며 흑자를 이어간 것으로 분석된다. 판매 물량 증가와 더불어 안정적 공급망 관리를 바탕으로 매출을 확대했다는 평가다.

B2B사업인 BS사업본부는 흑자전환에 성공했다. IT제품 수요가 지속적으로 줄었지만 아카데미 시즌(연말연초 신학기·취업 준비 등으로 IT 기기 수요가 늘어나는 시기) 특수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매출 성장을 이뤘다.

바닥 지나는 반도체, 삼성전자 영업익 1조원 아래로

이와 달리 삼성전자는 영업이익이 1조원 아래로 추락했다. 연결기준 영업이익은 6000억원, 매출액은 63조원으로 잠정집계됐다.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은 19% 하락, 영업이익은 95.75% 추락했다. 당초 증권가는 삼성전자가 영업이익 1조1억원을, 매출액 64조2012억원을 올릴 것으로 예상했다.

삼성전자도 사업부별 구체적인 실적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주력사업인 반도체사업이 적자를 낸 것으로 풀이된다. 증권업계가 예상하는 반도체 적자는 4조원 안팎이다. 가격 폭락이 이어지는 메모리 반도체뿐 아니라, 지난해 선방한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등 시스템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부품사업 역시 실적이 나빠진 것으로 분석된다.

삼성전자는 “메모리는 고객 구매심리 둔화에 따라 수요 감소 및 다수 고객사의 재고 조정이 지속되면서 전분기 대비 실적이 큰 폭 감소했다”며 “시스템반도체 및 SDC(삼성디스플레이)도 경기 부진 및 비수기 영향 등으로 전분기 대비 실적이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TV 등 가전과 IT기기 수요도 부진했다. 다만 모바일의 경우 갤럭시 S23 시리즈 출하량이 1000만대를 넘어서고 평균 판매 가격도 예상보다 상승하면서 전사 차원의 적자는 막은 것으로 풀이된다.

반도체. (사진=AFP)
SK하이닉스·마이크론 이어 삼성도 메모리 감산 동참

‘메모리 쇼크’를 받은 삼성전자는 대응카드로 감산을 꺼냈다. 메모리 불황이 2분기에도 지속할 것으로 관측되면서, 실적 악화를 타개하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메모리 시황에 전략적인 대응을 위해 노력해왔으며, 특히 난이도가 높은 선단공정 및 DDR5·LPDDR5 전환 등에 따른 생산 비트그로스(BG) 제약을 대비해 안정적인 공급력을 확보하는데 주력했다”며 “특정 메모리 제품은 향후 수요 변동에 대응 가능한 물량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이어 “미래를 위한 라인 운영 최적화 및 엔지니어링 런(Engineering Run·시험생산) 비중 확대 외 공급성이 확보된 제품 중심으로 의미 있는 수준까지 메모리 생산량을 하향 조정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업계 관계자는 “경쟁사들이 감산할 때 삼성전자는 DDR5 등 차세대 D램 생산을 지속해 생산량 목표를 달성했고, 전략적인 판단 하에 수급 조절을 하는 것”이라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