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총장은 25일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이같이 밝힌 뒤 “박 의장이 중재안을 제시한다는 언론 보도를 보고 나서야 중재안을 처음 알았다”며 “이후 대검 간부들과 상의하며 상황을 확인하고 사직서를 제출했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
앞서 김 총장은 박 의장 면담 후 기자들을 만나 “필요한 권력 수사는 해야 하지만, 국민이나 국회, 여론이 원치 않는 수사는 하지 않는 게 필요할지 모른다”고 언급해 박 의장과 교감이 이뤄진 것 아니냐는 논란이 확산됐다.
김 총장은 또 ‘국회를 드나드는 동안 중재안을 몰랐단 것이 문제다’는 일각의 지적에 대해서는 “법사위원장, 국회의장, 부의장 등을 여러차례 만났지만 그 과정에서 국회 동향이나 여야 원내대표님들이 어떻게 하시는지는 전혀 관심을 두지 않았고 만나 뵌 적도 없다”며 “국가 기관인 검찰이 정당과 대화를 하는 것은 부적절 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검찰에 대한 불신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검수완박 논의가 발생한 데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엔 “2019년에 추진했던 검찰개혁은 검찰, 경찰, 법무부, 시민단체 등이 참여해 1년 3개월간 회의를 20차례 여는 등 지난한 과정을 거쳤다”며 “그런 절차를 거쳤다면 존중하고 따라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지금은 그때와 전혀 다르다. 2주만에 법안이 제출됐고 그때 같은 절차가 다 생략됐다”며 “2019년과 같은 절차를 거쳐서 국민적 공감대를 얻어 (검수완박을)실행 한다면 그 결론을 당연히 따라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검찰 내부에서는 박 의장의 검수완박 중재안이 나오기 전날인 지난 21일 김 총장이 박 의장을 면담한 만큼 사전에 중재안 내용을 알고 있었고, 이 내용에 동의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며 김 총장 책임론이 커졌다.
이어 검찰의 직접수사권을 6대 범죄에서 2대 범죄로 대폭 축소하는 내용을 담은 박 의장의 중재안이 나오자 비판은 더욱 거세졌고, 검찰 내부망인 이프로스에도 김 총장의 해명을 요구하는 글들이 잇따라 올라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