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보실은 “대한민국의 국익을 수호함에 있어 유관 부처의 역량을 결집하는데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25일 밝혔다. 전날 열린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한 대행이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외교·안보부처 간 긴밀한 정보공유 및 협업 체계를 유지해 나가야 한다”고 주문한 데 따른 것이다.
윤석열 정부에서 안보실은 외교·안보정책 컨트롤타워 역할을 했지만 12·3 비상계엄 사태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을 거치며 그 힘과 위상이 약화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의 행정부 교체까지 맞물리면서 혼선은 더욱 가중됐다.
일각에선 미 에너지부가 한국을 민감국가(안보 등 이유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한 나라)로 지정한 것도 이런 혼란과 무관치 않다고 보고 있다. 다음 달 미국의 상호관세(다른 나라가 미국산 제품에 부과하는 무역장벽만큼 관세를 부과하는 것) 도입을 앞두고서도 한국이 부과 대상에 들어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런 우려 속에 전날 헌법재판소의 탄핵 기각으로 직무에 돌아온 한 대행은 복귀 일성으로 “이미 현실로 닥쳐온 통상전쟁에서 우리나라의 국익을 확보하는 데 모든 지혜와 역량을 쏟아붓겠다”고 했다. 그는 NSC에서도 “미국 신행정부와 외교·국방·경제안보 등 핵심 현안에 대해 적시에 협력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철저히 준비해 달라”며 국익 수호를 위한 국가적 차원의 정책 조치를 지체 없이 이행할 것을 지시했다. 정부 안에선 통상교섭본부장과 주미대사 등을 지낸 외교·통상 전문가인 한 대행이 한·미 최고위급 외교 복원에서 역할을 해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