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올해 중 가계부채 증가율을 적정 수준에서 관리할 수 있도록 보다 촘촘한 감독망을 구축할 것”이라며 “가계부채가 우리경제 및 금융회사 미래에 잠재 리스크로 작용하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관리해달라”고 요청했다.
은 위원장은 앞서 올해 가계부채 증가율을 5~6% 내에서 관리하겠다고 예고했다. 이미 상반기 증가율이 전년 동기 대비 8~9% 수준에 달해 목표치를 달성하려면 하반기엔 3~4%대로 억제해야 한다. 그만큼 전금융권을 상대로 가계대출 옥죄기 규제·감독이 강화될 수밖에 없다. 실제로 국내 전체의 가계부채는 올해 1분기 말 기준 1765조원으로, 1년 전보다 154조원(9.6%) 불어났다
금융권도 금융당국의 방침에 보조를 맞춘단 입장이다. 금융지주회장들은 “실수요와 무관하거나 자산 버블을 부추기는 가계대출은 없는지 꼼꼼히 점검해나가겠다”며 “금융당국의 가계부채 증가율 목표 내에서 안정적으로 관리될 수 있도록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금융당국과 은행권이 가계부채 억제를 위해 머리를 맞대면서 추가 조치가 나올지도 주목된다. 은 위원장은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가계부채 증가율을 억제하기 위해 실수요도 억제해야 하는 것인지, 이는 놔두고 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고민을 이야기했다”고 말했다.
이날 간담회에선 9월 말로 기한이 임박한 중소ㆍ소상공인 대출 만기연장과 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에 대해서도 논의했지만, 최종 결론은 이달 말께 내기로 했다. 은 위원장은 “대출 만기연장을 하지 않더라도 창의적인 방법이 있는지 등을 고민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은행들에 맡기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그간 금융권 합동으로 만기를 연장해 왔고 금융권이 지혜를 모으는 게 좋겠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고 덧붙였다.
이날 은 위원장은 금융권에 청년 고용도 주문했따. 그는 “금융권이 수익을 많이 내 사회에서 기대하는 것이 있는데, 민간 회사인 만큼 청년에게 일자리를 만들 기회를 주면 어떨까 해서 요청했다”고 말했다. 이어 “회장들은 디지털 가속화로 마냥 고용을 늘리기 어렵다는 한계를 얘기했다”며 “구조적으로 전체 인건비를 동결하거나 줄이는 과정에서 청년들에게 (일자리) 기회를 주면 좋으니 구조적인 변화는 정부와 금융권, 경우에 따라서는 노조도 같이 대화를 나누면 좋겠다는 의견이 오갔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