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강 보 개방했더니…녹조 최대 95% 감소하고 멸종위기종 재발견

김경은 기자I 2021.04.13 12:00:00

환경부, 11개 보 개방 3년 관측 결과 공개
퇴적물 모래 비율 증가 유기물질 감소…수질ㆍ생태계 개선 효과
지하수위는 보 개방 수준보다 낮아져

[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4대강 16개 보 중에서 개방한 11개 보를 3년간 관측한 결과 보를 열수록 녹조가 감소하고, 멸종위기 야생생물이 다시 발견되는 등 수상생태 환경이 개선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는 13일 금강, 영산강, 낙동강 등에서 개방한 11개 보(금강 3개, 영산강 2개, 낙동강 6개)에 대해 2017년 6월부터 2020년 하반기까지 관측한 결과를 이같이 공개했다.

여름철 많이 발생하는 녹조(유해남조류)는 개방 폭이 컸던 금강, 영산강 보를 중심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예년(2013~2017년)과 유사한 기상 조건이었던 2019년에 금강, 영산강에서 녹조가 예년 평균과 비교할 때 95% 이상 감소했다. 이는 보 개방으로 체류시간이 최대 88% 짧아지고 물살이 최대 813% 빨라지는 등 물흐름이 개선된 영향이라고 판단했다.

보 개방 후 저층빈산소가 발생하지 않거나 빈도가 감소했다. 저층빈산소는 용존산소 2㎎/L 이하의 상태로, 하천 저층에 용존산소가 부족하면 저서성 수생생물과 수생태계 전반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금강 백제보와 영산강 승촌보의 경우, 완전개방 시기에는 저층 빈산소가 관측되지 않았다. 낙동강 하류 달성·합천창녕보에서도 부분개방 이후 발생 빈도가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또 개방 폭이 큰 금강, 영산강 보에서 퇴적물 내의 모래 비율이 증가하고 유기물질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퇴적물 내 모래 비율이 높아지고 유기물질이 감소하면, 자정작용이 활발해지고 수중 용존산소량이 증가하여 수질·수생태계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퇴적물 내 모래 비율의 경우 영산강 죽산보에서 개방 전 대비 개방 후 1.7배(51.8%→ 88.2%)로 가장 많이 증가했다. 퇴적물 내 유기물질 함량의 경우 금강 공주보에서 개방 전 대비 개방 후 절반가량으로(1.43%→0.67%) 가장 많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개방 폭이 작았던 낙동강 보에서는 모래 비율 및 유기물 함량 증·감 경향이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보 개방 후 야생생물이 살아가는 서식 환경이 다양하게 조성됨에 따라 생태계 건강성도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보 개방으로 물흐름이 빨라지고 깨끗한 모래톱, 자갈밭 등이 조성됨에 따라 하천 환경이 개선됐고, 수생태계 건강성(어류 및 저서동물 건강성지수)도 증가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물살이 빠르고 깨끗한 모래가 깔린 수역에서만 서식하는 멸종위기 야생생물Ⅰ급 어류인 ‘흰수마자’가 2019년에 세종보 하류에서 재발견된 후, 2020년에는 공주보 상·하류에서도 관측되어 서식 범위가 확대됐다. 1980년대까지 금강 본류 및 지류까지 넓게 서식하였으나 최근 하천 개발, 보 설치 등 영향으로 서식 범위가 급격히 감소했었다.

강과 수변공간을 터전으로 살아가는 물새류가 장기간 보를 개방한 금강·영산강 구간에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고, 특히 황새(멸종 Ⅰ급, 죽산보 상류), 흑두루미(멸종 Ⅱ급, 창녕함안보 상류) 등 보전 가치가 높은 멸종위기 조류도 관측되었다.

보 개방 수준, 지하수 이용량, 강수량 등 다양한 요인의 영향을 받는 지하수위는 대부분의 지하수 관측정에서 지하수위 변동 폭이 보 개방 수준보다 작게 나타났으나 일부 관측정에서는 지하수위가 보 개방 수준보다 더 큰 폭으로 낮아졌다.

박미자 환경부 4대강 조사·평가단장은 “보 개방으로 물흐름이 개선되면서 여러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라며 “올해에는 한강·낙동강 보에 대해서 지난 2월 유역물관리위원회에서 의결한 내용(기후변화, 재해 등에 대비한 보 운영여건 마련)을 토대로 보 운영 여건을 마련하는데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출처: 환경부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