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일 로이터통신,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미 달러화 가치는 이날 오전 역외 거래에서 중국 위안화 대비 0.7% 상승한 7.2552위안을 기록했다. 달러·위안 환율은 장중 한때 사상 최고치인 7.3765위안까지 치솟기도 했다.(위안화 가치는 하락)
미 달러화는 캐나다달러화 대비로는 1.4% 오른 1.4755캐나다달러에 거래됐다. 2003년 이후 최고치다. 멕시코 페소화 대비로도 2.3% 강세를 보이며 21.15페소를 기록했다. 달러·페소 환율이 21페소를 넘어선 건 2022년 7월 이후 처음이다.
달러화 강세는 세 국가 통화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다. 주요 6개국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인덱스는 전 거래일보다 1.34% 오른 109.619를 기록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일 캐나다·멕시코 수입품에 25%(캐나다산 에너지는 10%)의 관세를, 중국 수입품에는 10% 추가 관세 부과하는 내용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데 따른 결과다.
캐나다와 멕시코가 즉각 보복 조치를 다짐하고 중국이 세계무역기구(WTO)에서 이의 제기를 예고함에 따라 무역전쟁이 촉발할 것이라는 우려가 확산, 안전자산인 달러화에 수요가 몰리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산 수입품에도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예고하면서, 유로화 역시 미 달러화 대비 2.3% 급락해 1.0125달러까지 떨어졌다.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다.
아직 미국과 유럽은 주말이어서 금융시장이 휴장 상태인데, 장이 개시되고 나면 변동성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내다봤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폴 애쉬워스는 “이번 관세 부과 조치는 파괴적인 글로벌 무역 전쟁을 촉발하고 인플레이션을 처음에 예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빠르고 가파르게 상승시킬 수 있는 첫 번째 타격일 뿐”이라며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향후 12~18개월 동안 금리를 인하할 수 없을 것으로 예측했다.
위험자산인 주식은 하락세다. 아시아 시장에서 일본 닛케이225지수는 거래가 시작되자마자 몇 분 만에 2.3% 하락했고, 연휴로 휴장 중인 중국 증시를 대리하는 호주 벤치마크도 2% 이상 내렸다. 또다른 대표 위험자산인 비트코인도 5.8% 급락해 9만 6191.39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3주래 최저 가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