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변호사 등 A씨 측은 이날 오전 서울 서초구 법률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장 전 의원의 성폭행 고소 경위 등을 설명할 계획이었다. 전날인 지난달 31일 A씨 측은 기자회견 일정을 공지하며 “피해자는 그 당시 장 전 의원이 가지고 있는 막강한 힘에 대한 두려움, 성폭력 신고 이후 맞닥뜨려야 하는 상황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형사고소를 하지 못한 채 약 9년간 고통스러운 시간을 보내왔다”며 “동영상 등 증거를 모두 경찰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장 전 의원은 기자회견 공지 당일 오후 11시 40분쯤 서울 강동구의 한 오피스텔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은 현장에서 장 전 의원의 것으로 보이는 유서도 함께 확인한 것으로 파악됐다. 피고소인인 장 전 의원의 사망에 따라 사건은 공소권 없음(피의자 사망)으로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
앞서 A씨 측은 지난달 초 장 전 의원을 성폭행(준강간치상) 혐의로 경찰에 고소했다. 이들은 장 전 의원이 2015년 11월 18일 부산의 한 대학교 부총장 시절 비서로 일하던 A씨를 서울 강남구 소재 호텔에서 추행했다고 주장했다. 대리인이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A씨는 2015년 11월 서울 강남구의 한 호텔방에서 당시 부산디지털대 부총장으로 재직 중이던 장 전 의원에 의해 성폭력을 경험했다. 만취 상태이던 고소인은 성폭력 발생을 인지한 직후 호텔 내부를 촬영하고, 해바라기센터에서 증거물을 응급채취한 뒤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감정을 의뢰했다. 감정 결과 고소인의 신체와 속옷에서는 남성 유전자형이 검출된 것으로 전해졌다. A씨는 이 증거물과 함께 사건 발생 직후 장 전 의원이 보낸 문자메시지 내역 등을 경찰에 제출했다. 또한 A씨 측이 제출한 영상에는 장 전 의원이 A씨에게 물을 가져다 달라고 하거나, 추행을 시도하는 정황 등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장 전 의원은 피소 사실이 밝혀진 뒤 탈당하는 한편 줄곧 혐의를 부인해왔다. 지난달 28일 진행된 경찰 조사에서도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