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세안은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태국, 싱가포르,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시아 10개국의 연합체로, 한국의 2위 수출시장이자 전세계 인구의 8%(약 6억7000만명)를 차지하는 거대 경제권이다. 아직 전기차 시장은 작지만 정부의 탄소감축 노력에 따라 친환경차 시장이 연평균 47.5%씩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아세안시장 공략에 박차를 가해야 한다는 게 대한상의 지적이다. 실제로 아세안의 수입 전기차 시장은 2019년 1억3000만달러에서 2021년 3억 달러로 2배 넘게 성장했다.
한국 점유율이 감소한 자리는 중국이 메운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의 아세안 수입 전기차 시장 내 점유율은 2019년 25.7%(약 3400만 달러)에서 2021년 46.4%(약 1억3800만 달러)로 급등하며 1위로 올라섰다. 독일 역시 같은 기간 1.3%에서 34.1%(2위)로 큰 증가폭을 보였다. 하이브리드카에 집중하고 있는 일본은 13.8%에서 1.6%로 점유율이 쪼그라들었다.
대한상의는 “아세안 국가들의 전기차 보급 의지는 점차 강해지는 반면, 국민들의 구매력은 이에 못 미치다 보니 중국산 전기차의 가격 메리트가 더욱 커졌을 것”이라며 “점유율 역전이 코로나를 기점으로 일어난 것도 주목할 만하다”고 했다.
아세안 국가별로 살펴보면, 10개국 중 전기차 수입액이 1000만 달러가 넘는 국가는 태국(1억3000만 달러), 싱가포르(8000만 달러), 말레이시아(4000만 달러), 인도네시아(3000만 달러)로 이들 4개국이 전체 수입액의 95%를 차지한다.
한국은 인도네시아를 제외한 3개국에서 점유율이 하락했다. 태국에서는 2019년 3.2%(3위) → 2021년 0.03%(9위), 싱가포르에서는 72.7%(1위) → 7.8%(2위), 말레이시아에서는 2.1%(6위) → 0.1%(8위)로 떨어졌다. 반면, 국내 기업들이 2010년대 후반부터 꾸준히 시장을 조사하고 현지 판매법인을 설립하며 공을 들여온 인도네시아에서는 점유율이 19.4%(3위)에서 63.2%(1위)로 급증했다.
중국은 태국시장에서는 독일의 선전에 밀려 점유율이 일부 하락했지만(64.3% → 52.4%), 태국시장이 3배 가까이 성장해 수입액은 오히려 2배 이상 늘었다. 싱가포르에서도 점유율이 4.1%(3위)에서 79.5%(1위)로 급성장하며 한국을 추월했다. 독일은 말레이시아(13.8% → 83%)와 태국(0.2% → 35.6%) 등에서 점유율을 높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