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파월 “더 많은 긴축 오고 있다”
파월 의장은 28일(현지시간) 포르투갈 신트라에서 열린 유럽중앙은행(ECB) 연례 포럼에서 “그것(더 많은 긴축)을 진정 가능하게 하는 것은 매우 강한 노동시장”이라며 “현재 통화정책은 제약적인 수준이지만, 충분히 제약적이지는 않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강한 노동시장으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심화하고 있으니, 추가 기준금리 인상은 불가피하다는 뜻이다. 강경한 매파 발언이라는 평가다.
연준은 최근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때 점도표를 통해 올해 두 차례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해 시장을 놀라게 했다. 올해 FOMC 정례회의는 다음달을 비롯해 오는 9월, 11월, 12월 등 총 네 차례다. 시장은 여전히 한 차례 추가 인상에 기울어 있지만, 파월 의장의 언급이 강경하다 보니 두 차례 회의에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보인다. 파월 의장은 “연이은 회의에서 (금리를) 움직이는 방안을 고려 대상에서 제외하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블룸버그는 “연준이 다음달과 9월 연속 인상 신호를 준 것”이라고 보도했다.
실제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이날 한때 연방기금금리(FFR) 선물 시장 참가자들은 연준이 9월, 11월, 12월 회의 때 현재 5.00~5.25%에서 5.50~5.75% 수준까지 올릴 확률을 각각 20~30%대까지 각각 높였다. 불과 얼마 전까지만 해도 모두 10%에 미치지 못했다.
파월 의장은 또 “인플레이션이 목표치인 2%로 내려오려면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예상보다 오래 지속하는) 그 방향성이 바뀔 날이 오면 좋겠지만 지금은 기대하지 않는다”라고 말했다. 그는 아울러 “경기 하강(downturn)이 올 가능성이 상당하다”며 “가장 가능성이 높은 경우는 아니지만 확실히 가능하다”고 말했다. 경기 연착륙에 자신감을 보였던 기존 입장과는 약간 톤이 달랐다.
|
◇베일리 총재 등 강경 긴축 지지
이날 포럼에 나온 다른 인사들 역시 다소 매파적인 입장을 취해 주목 받았다. 베일리 총재는 최근 시장을 놀라게 한 50bp(1bp=0.01%포인트) 금리 인상을 두고 “정당한 조치였다”고 말했다. BOE는 지난 22일(현지시간) 통화정책회의에서 시장의 25bp 전망을 깨고 금리를 4.50%에서 5.00%로 50bp 올렸다. 영국의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8.7%에 달했던 게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베일리 총재는 시장 일각의 비판론에 대해서는 “왜 BOE를 비판하는지 이해할 수 있다”면서도 “우리는 지금 시점에서 매우 강력한 조치를 취해야 했다”고 말했다. 경기 침체를 각오한 강경 긴축을 지속하겠다는 의지로 읽힌다.
크리스틴 라가르드 ECB 총재도 “지금 금리 동결을 고려하고 있지 않다”며 “할 일이 더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했다. ECB는 최근 금리를 3.75%에서 4.00%로 25bp 올렸는데, 이날 언급은 다음달 추가 인상을 시사한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유로존(유로화 사용 20개국)의 CPI 상승률은 6.1%를 기록했다.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는 “우리는 지난 수십년간 심각한 통화 긴축을 한 적이 없다”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 “현재 임금 인플레이션은 2%에 달하고 있다”며 “만약 통화정책을 정상화한다면 모든 종류의 스트레스 테스트를 신중하게 해봐야 할 것”이라고 했다. 이는 BOJ마저 통화 긴축에 나설 채비를 하는 것이다. 그는 “내년에 인플레이션 2%가 현실화할 것으로 예상되면 정책을 변경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인도중앙은행(RBI) 총재를 지낸 라구람 라잔 시카고대 교수는 블룸버그에 나와 “중앙은행 수장들이 통화 긴축을 언급하면서 ‘우리는 결심했다’고 했지만 지금까지 별다른 효과가 없다는 사실에 조금 당황한 것 같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 중앙은행의 매파 기조에 투자심리는 다소 가라앉았다. 이날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와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각각 0.22%, 0.04% 내렸다. 보케캐피털 파트너스의 김 포레스트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증시는 더 오르고 싶어 하는 것 같다”면서도 “‘더 오래 더 높은 금리가 필요하다’는 당국자들의 발언이 저항선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