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러면서 “이대로 허송세월할 수는 없다. 어떻게든 이 충격파를 막고,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저는 미시간에서 민-관, 국경을 뛰어넘은 관세 대응 공동 전략을 마련하고 오겠다”고 이번 출장 배경을 설명했다.
김 지사의 출장지인 미시간주는 지역 경제의 20%를 자동차 산업이 차지하고 있다. 미국의 ‘빅3’ 완성차 기업, 제너럴모터스(GM), 포드, 스텔란티스의 본사가 위치한 곳이기도 하다. 한국 부품업체 상당수도 이 미국의 빅3 자동차기업에 납품하고 있다.
김동연 지사는 “미시간 역시 트럼프 관세 충격파로 지역 경제와 일자리, 산업 생태계 전체가 흔들리고 있다”며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시간주가 트럼프 무역 전쟁의 ‘첫 희생양’이 되고 있다고까지 표현했다”고 전했다.
그는 이어 “지금은 이 트럼프발 관세 전쟁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가지고 있는 모든 역량과 네트워크를 총동원해야 한다”라며 “이번에 그레첸 휘트머 미시간주지사를 직접 만나 경기도-미시간주, 한-미 양국 자동차 산업의 상생을 위한 강력한 협력 거버넌스를 만들고 오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와 휘트머 주지사는 재작년 미시간, 작년에는 경기 수원에서 두 차례 만나며 교류를 다진 바 있다.
김동연 지사는 “미시간 주정부뿐만 아니라, 현지 한국 부품 기업들과도 관세 전쟁에 공동으로 대응하겠다. 우리 기업들을 각자도생의 정글에 방치하지 않겠다”라고 약속했다.
그는 또 “계엄과 내란이 우리 민생과 경제에 남긴 상처가 너무 크다. 지금 대처하지 않으면 다시는 회복하기 어려울지도 모른다”면서 “지금 정치가 해야 할 일은 국민의 먹고 사는 삶을 책임지는 것, 무너진 민생과 경제를 회복하는 것이다. 제가 가진 모든 역량과 경험을 쏟아붓겠다”고 각오를 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