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2개 기업이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 정책 아래 20여년간 600조원 이상을 투입해 조성 예정인 세계 최대 규모의 반도체 생산 거점이다. 유례없는 규모의 산업단지인 만큼 이곳이 완전 가동하는 2053년 이후엔 현재 국내 전력 사용량의 10%에 이르는 10기가와트(GW)의 전력이 필요할 전망이다. 또 하루 133만t의 공업용수도 필요하다. 정부는 이 같은 막대한 전력·용수 공급을 위해 지난해부터 그 방안을 모색해 왔고, 전력·용수 공기업인 한전·수자원공사 역시 삼성전자·SK하이닉스와 구체적인 해법과 그에 따른 비용 분담을 협의해 왔다. 또 대부분의 협의가 마무리된 이날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이를 포함한 반도체 생태계 지원 강화방안을 발표했다.
용인 국가산업단지의 경우 한전 자회사이자 발전 공기업인 한국동서·남부·서부발전 3곳이 2030년까지 각 1GW 규모의 가스화력발전소를 지어 3GW의 초기 수요에 대응한다. 이어 한전이 2044년까지 호남과 이곳을 잇는 장거리 송전선로 1개를 지어 이곳 전력 수요에 대응한다. 2044년 이후 추가로 필요한 공급량에 대해선 추후 대안을 마련한다. 용인 일반산단에 대해서도 한전이 신안성~동용인 변전소를 잇는 송전선로를 구축해 2027년 공장 가동에 필요한 3GW의 수요에 대응하고, 동해안~용인을 잇는 장거리 송전선로 건설을 추진한다.
비용 부담 논의도 마쳤다. 장거리 송전선로 구축은 한전이 부담하고, 공용망에서 직접 클러스터를 잇는 송전망과 산단 내 변전소 구축 비용 2조4000억원은 이곳 입주기업과 한전이 각각 1조7000억원, 7000억원을 부담키로 했다. 원래 특정 사용자를 위한 전기공급설비는 사용자 부담이 원칙이지만, 국가 차원의 대규모 사업인 만큼 공기업인 한전이 이를 상당 부분 부담키로 한 것이다. 정부는 이날 기업 부담분에 대한 정부 직접 지원을 추진한다는 계획도 함께 발표하기도 했다.
|
정부는 이 사업의 빠른 추진을 위해 지난달 이 사업에 대한 예비타당성 조사도 면제했다. 당장 내년부터 기본·실시설계 용역 등 후속 절차에 착수해 2031년부터 용수 공급에 나설 계획이다. 이곳 역시 수자원공사가 2조2000억원의 사업비 중 3분의 2에 해당하는 1조4800억원을 부담하고, LH 역시 삼성전자와 함께 역할을 할 계획이다.
이날 협약식에는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을 비롯해 안덕근 산업부 장관, 김완섭 환경부 장관,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등 정부 주요 관계자가 함께 했다. 또 남석우 삼성전자 사장, 김동섭 SK하이닉스 사장, 방성종 용인일반산업단지㈜ 대표이사, 김동철 한전 사장, 권명호 동서발전 사장, 김준동 남부발전 사장, 이정복 서부발전 사장, 윤석대 수자원공사 사장, 이한준 LH 사장이 직접 협약서에 서명했다.
정부 관계자는 “이번 협약으로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 구축을 위한 인프라 조성 계획이 차질 없이 마무리됐다”며 “정부와 공공기관, 기업은 필요한 인프라를 신속히 조성해 2027년부터 가동을 시작해 총 600조원 이상의 투자가 예정된 이곳의 원활한 투자와 운영을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