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쓴이 A씨는 “토마토 꼭지 일반쓰레기로 버렸다고 10만원, 닭뼈에 살 남았다고 10만원, 고무장갑 일반쓰레기 버렸다고 10만원, 이거 진짜 우리나라 이야기 맞냐? 택배송장 뒤져서 기어이 과태료 먹인다며?”라고 적힌 글의 캡처 화면을 첨부했다.
이어 A씨는 종이 도시락을 먹고 헹구지 않은 채 버려 과태료를 부과받았다는 B씨의 게시물도 함께 공유했다.
B씨는 수원시 영통구에서 보낸 문서 사진과 함께 “다들 조심해라. 사무실에서 도시락(종이에 오는거)먹고 안헹궈서 버렸다는 이유로 날라왔다”라며 글을 시작했다.
이어 “오염된 건 분리수거 안 하고 일반쓰레기로 분류한다고 해서 그냥 버렸더니 버리는 쓰레기도 퐁퐁으로 헹궈 버리라고 한다”고 했다.
B씨는 “억울해서 환경 미화하시는 분께 물었다”며 “집중 단속기간이라 어르신들이 포상금 받으려고 단속하고 다니신다더라. 쓰레기 봉투에 보면 수거 시간 써 있다고 그 시간에 맞춰 내두든가 그게 안 될 거 같으면 완전 새벽에 버리라”는 답변을 받았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주말에 특히나 더 많이들 돌아다니실 거다. 다들 조심해라”며 글을 마무리했다.
|
이어 구청에서 무단투기 단속원들로 어르신들을 고용하고 있고 이들은 포상금이 아닌 임금을 받고 일하시는 직원이라는 설명도 덧붙였다.
해당 글 외에도 ‘종량제 파파라치’를 조심해야 한다는 글이 올라오고 있다. 파파라치에 잡히지 않도록 유의해야 할 부분을 공유하기도 했다.
또 다른 글 작성자는 “최근 수도권에서 종량제 파파라치가 돈이 되는 걸 알고 종량제 봉투를 뒤지고 다닌다는 기사나 뉴스를 봤을 거다. 내가 사는 동네에서도 종량제 봉투를 뒤지고 다니는 중년과 노인을 목격했다”고 썼다.
그러면서 “이들이 작업하는 방식은 종량제 봉투를 무작정 뒤져서 주소나 성명, 폰 번호가 적힌 영수증이나 택배 송장이 나오면 해당 봉투에 더러운 쓰레기를 넣는 등의 자작극을 벌여 신고를 하고 포상금을 타가는 듯”이라며 “영수증이랑 택배 송장 버릴 때 조심하자”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