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대전시, 반도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 사활

박진환 기자I 2023.06.14 13:43:20

이장우 대전시장, 반도체 연구·교육·실증도시 도약구상 밝혀
KAIST·충남대서 반도체 인재 양성 관련 산업 육성기반 마련
국가산단 후보지에 266곳 5.5조 투자의향 1.4만명 고용 창출

13일 대전시청사 브리핑룸에서 이장우 대전시장(가운데)과 이광형 KAIST 총장(오른쪽), 이진숙 충남대 총장이 공동 기자회견을 진행한 뒤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대전시 제공)


[대전=이데일리 박진환 기자] 대전시가 반도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다. 올해 초 후보지로 지정된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를 기반으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과 충남대 등과 연계해 반도체 연구·교육 및 실증 선도도시로 도약한다는 구상이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13일 대전시청사 브리핑룸에서 이광형 KAIST 총장, 이진숙 충남대 총장과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반도체 인재양성 4대 국책사업을 유치했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대전시는 지난 3월 530만㎡(160만평) 규모의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후보지로 선정됐다. 또 KAIST는 지난달 인공지능(AI) 반도체대학원·양자대학원·반도체공학대학원 지원대상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KAIST는 반도체공학대학원,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 양자대학원 등 3개 대학원을 설립해 이번 가을학기부터 석·박사 과정을 신설한다. 반도체공학대학원은 총사업비 215억원을 투입해 반도체 소자·소재 및 패키징 분야에서 초격차 반도체 기술 혁신을 이끌어 낼 고급 석박사를 2028년까지 225명을 양성하고, 최고급 반도체 인재양성 프로그램 및 산학연 교류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다. 인공지능반도체대학원은 213억원을 들여 회로·칩 설계 등의 다양한 실용화 연구 및 산학 공동 프로젝트와 함께 학문분야를 초월한 융합교육·연구를 위해 복수 지도제를 도입해 석·박사 165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양자대학원은 국비 242억원으로 기업과 출연연 등과 협력해 석·박사 대상 양자 특화 전문교육과정을 개발·운영해 양자 핵심인재를 18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충남대도 358억원을 투입해 캠퍼스 내에 반도체 교육·연구·실습 기능을 수행하는 충청권 반도체공동연구소를 설립하기로 했다. 공동연구소를 통해 충청권 반도체산업 지원을 위한 장비 직접 사용 교육 프로그램 제공, 반도체산업 전문인력 제공 및 제품 성능시험장 기술지원, 산학연 공동연구 제고 및 원천 핵심기술 확보를 지원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앞으로 매년 1000명의 반도체 인재양성을 배출, 반도체산업 육성을 지원한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 시장은 “대전은 반도체 기술, 인재, 산업을 골고루 갖춘 과학수도이며, 이번 공모사업 선정이 그것을 다시 한 번 증명해준 것”이라며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 지정과 첨단반도체기술센터(ASTC)를 구축해 시스템반도체 국가경쟁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겠다”고 강조했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대전시와 KAIST가 가지고 있는 반도체 자원과 역량을 통해 시너지 효과를 낸다면 대전이 반도체산업 핵심도시로 거듭날 수 있을 것”이라며 “KAIST는 기술패권 경쟁의 주도권 확보를 위해 반도체 핵심 인재 양성뿐만 아니라 양자 등 미래 전략기술 확보와 인재양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설명했다. 이진숙 충남대 총장도 “이번 유치를 통해 대전이 반도체 교육 및 연구에 대한 핵심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초석이 마련됐다”면서 “충남대가 반도체 인력양성 거점 조성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함께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대전시는 기존 대덕연구개발특구 3500여만㎡와 나노·반도체 국가산단 후보지 530만㎡를 묶어 반도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로 지정해달라고 정부에 신청한 상태다. 특화단지로 지정되면 예비타당성조사 특례(면제 또는 신속)를 받을 수 있고, 단지 조성·운영을 위한 인허가 신속처리기간도 기존 30일에서 15일로 단축된다. 공동연구 인프라나 기반시설 조성에 국비가 지원되고, 시설투자 세액 공제와 용적률 상향 등 혜택도 주어진다. 현재 전국 15개 지방자치단체가 경쟁을 벌이고 있다. 이 시장은 “나노·반도체 국가산업단지 후보지에 266개의 기업이 5조 5000억원 투자의향을 밝혀와 1만 4000여명의 고용창출이 기대된다”며 “50만∼66만㎡ 부지 제공 등에 관해 대기업과 양해각서(MOU)도 체결했다”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