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동물용 의약품 산업, 4조원 규모로 키운다…R&D 기획단 구성

김은비 기자I 2025.04.02 10:00:00

농식품부, ''동물용의약품 산업 발전 방안''
핵심기술 국산화 지원·R&D 인프라 구축
임상시험 신속허가 체계 구축해 개발 시간 단축
해외 임상시험 자료도 인정해 백신 개발 지원

[세종=이데일리 김은비 기자] 정부 동물의약품 시장을 10년 내에 4조원 규모로 육성한다. 현재의 3배 수준으로, 관련 연구개발(R&D) 지원 확대는 물론 인허가 규제를 완화해 신약 개발에 걸리는 시간도 단축해준다는 계획이다. 또 ‘동물용의약품 연구개발추진기획단’을 구성해 현재 추진 중인 연구개발 방향을 미래 혁신형으로 재정립한다는 구상이다.

(사진=농식품부)
농림축산식품부는 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동물용의약품 산업 발전 방안’을 발표했다. 동물용의약품에 대한 국내외 수요는 반려동물 양육 증가, 축산물 소비 증가 등으로 꾸준히 늘어나고 있지만 국산 제품은 경쟁력에 뒤처져 입지가 축소되고 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국내 산업이 단순 제조 중심의 성장에서 벗어나 신약 등 고부가가치 신제품 개발과 기술혁신 중심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35년까지 관련 산업을 4조원 규모로 키운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이는 현재의 3배 규모다. 수출 규모도 1조 5000억원으로 5배 가량 늘린다.

우선 농식품부는 ‘대규모 연구개발(R&D) 혁신 프로젝트’를 추진하기 위해 올해 산업계·학계 등 현장 전문가가 참여하는 ‘동물용의약품 연구개발(R&D) 추진기획단’을 구성한다. 미래 혁신형 연구개발 추진 전략을 수립하고, 핵심기술의 국산화를 앞당긴다는 계획이다.

중소·벤처기업, 연구개발 전문기업 등에 신약 후보물질 발굴, 임상 및 비임상시험, 시제품 생산 등 신약 개발 전 주기를 지원하는 경북 포항의 공공 바이오파운드리와 전북 익산 동물용의약품 클러스터 등 연구개발(R&D) 인프라도 구축한다.

인허가 규제를 혁신한다. 신약 품목허가 과정에서 많은 시행착오와 시간이 걸리는 안전성·유효성 자료에 대한 사전검토제를 도입해 개발 품목의 빠른 시장 진입을 지원한다. 현재 운영 중인 신약검토팀 기능을 강화해 임상시험 설계를 지원하는 등 신속 허가(패스트트랙) 체계를 구축한다. 통상 7~10년 이상 소요되는 신약 개발기간을 대폭 단축할 수 있도록 지원 예정이다.

국내기업이 해외에서 실시한 임상시험 자료를 인정하여 그동안 가축전염병 발생 우려 등으로 국내에서 임상시험이 어려웠던 아프리카돼지열병 등 고위험병원체에 대한 백신·치료제 개발을 촉진하고, 경제성이 낮아 개발 또는 수입이 어려웠으나 최근 동물의료 현장에서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동물 희귀질환 의약품의 인허가 관리 기준을 마련한다.

유망 수출기업에 대한 지원도 확대한다. 원료구입, 임상시험, 제품등록 비용 등 수출 품목 개발 및 수출국 인허가 등에 필요한 기업 지원 예산을 지속 확대한다. 국제협력 채널 강화로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동물용의약품 기업에 투자가 가능한 농식품 펀드(그린바이오펀드, 반려동물 연관산업 전용 펀드)와 정책금융지원을 통해 민간 자본 유입을 활성화하는 등 기업의 성장을 뒷받침한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번 산업 발전 방안을 통해 동물용의약품 산업을 중장기적으로 크게 성장시키고, 고부가가치 신제품 개발과 기술혁신을 통해 국가 경제를 견인하는 신성장 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강조했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