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9일 발표된 고용노동부의 10월 사업체 노동력조사에 따르면 지난 9월 기준 상용직 1인 이상 사업체의 전체 근로자 1인당 월평균 임금(세전)은 431만6000원으로 전년 동월(408만5000원)보다 23만1000원(5.7%) 증가했다.
고용부는 9월 임금이 급증한 이유로는 추석 상여금을 들었다. 지난해에는 8월과 9월에 분산 지급된 명절상여금이 올해에는 대부분 9월 한 달간 지급된 것이 영향을 미쳤다는 설명이다. 또 자동차 제조업 등 일부 산업에서 임금 협상 타결금 지급 등으로 특별급여가 증가한 것도 영향을 미쳤다.
종사상 지위별로 보면 상용직 근로자의 임금은 459만원으로 25만3000원(5.8%) 증가했다. 임시·일용직은 188만9000원으로 13만1000원(7.4%) 늘었다. 300인 미만 사업체가 379만3000원으로 15만6000원(4.3%) 늘었고, 300인 이상은 686만9000원으로 52만7000원(8.3%) 증가했다.
9월 임금이 증가한 것의 영향으로 물가 수준을 반영한 실질임금도 7개월 만에 증가했다. 9월 실질임금은 382만원으로, 전년 동월(375만원)보다 7만원(1.9%) 증가했다. 실질임금은 명세서 월급인 명목임금을 소비자지수로 나눠 100을 곱한 값이다.
|
이에 실질임금은 10월 통계부터 다시 감소세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 5.2%을 기록한 뒤 지난 7월에 2.3%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8월 상승률은 3.4%를 기록하며 석 달 만에 3%대로 재진입했다. 이후 9월 상승률은 3.7%, 10월 상승률은 3.8%로 고물가를 유지하고 있다.
실질임금의 감소는 임금수준이 낮은 중소기업의 구인난에도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10월 기준 빈 일자리는 20만4000개를 기록했다. 20만개 이상 수준을 유지하는 것도 9개월째다. 빈 일자리의 약 70%는 3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이다.
실질임금의 감소가 저임금 일자리의 임금 수준을 더 낮추면서 구직자가 중소기업 취업을 더 꺼리는 요인이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다만 정부는 내년에 역대 최대인 16만5000명의 외국인력을 도입해 중소기업의 구인난을 해소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