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 포럼은 △학술 △교육 △청년 △문화·법률 4개 분과로 나누어 일본 후쿠시마 방사성 오염수 방류나 사용후 핵연료 처리 문제 등 민감한 원자력 관련 사회적 현안에 대해 세미나와 토론, 교육 활동을 통해 원자력을 올바르게 알려 나간다는 취지로 운영된다.
특히 그린피스 같은 반원자력 성향의 환경단체가 주도하는 각종 이슈에 대응하는 씽크탱크 역할을 할 전망이다. 각종 친환경단체, 일부 비주류 원자력 학계에서 원자력의 위험을 과장하면, 정치권과 일반 국민도 원자력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커져 원자력발전 산업에 차질을 빚거나 탈(脫)원전 정책 기조로 확산할 수 있는 만큼 이에 대응해나가겠다는 것이다.
원자력은 1972년 국내 첫 원자력발전소(원전)인 고리 원자력 1호기를 시작으로 50여년 간 국내 주요 발전 에너지원으로 활용돼 왔다. 지난해 기준 25기의 원전이 국내 전체 전력수요의 약 30%를 공급하고 있다. 2017년 출범한 문재인 정부의 원전 비중 축소 에너지 전환 정책 기조로 바뀌었으나 지난해 윤석열 정부의 출범과 함께 원전 중시 정책으로 복귀했다.
이날 행사에는 포럼에 각계 약 50명이 참석을 확정한 가운데, 원자력 정부기관·기업·학계·학생 등 관계자 100여명이 참석해 힘을 보탰다. 포럼은 앞으로의 규모 확대와 함께 활동을 펼칠 계획이다.
강경성 산업부 2차관은 “원자력은 기후변화에 대응한 탄소중립을 위한 최적의 에너지원이고 재생·수소에너지도 튼튼한 원전 기반 위에 함께할 수 있다”며 “원전의 객관적이고 과학적 정보를 전달하고 건설적 담론의 장을 만들어주는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황주호 한수원 사장은 “원전의 안정적 전기 공급이 있었기에 우린 1970년대 두 차례의 오일쇼크와 1990년대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2008년 국제 금융위기를 넘어설 수 있었다”며 “한수원은 안전한 안전을 최우선으로 원전 10기 수출과 (국내)원전 10기 계속운전, 원전 이용률 10% 향상 등 목표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