잦은 회식과 야근 많은 연말의 적은 ‘불면증’

이순용 기자I 2023.12.29 16:04:41

잠들기 어렵고 깨길 반복 3개월이면 치료 필수
우울증·하지불안증 등 타 질환이 원인일 수 있어

[이데일리 이순용 기자] 연말이 되며 잦은 야근과 모임 등으로 피로도는 쌓여가지만 정작 깊고 긴 잠은 잘 수 없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불면증이란 환자들이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불면증상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주로 ▲ 잠에 들기 힘들다 ▲수면 중간에 계속 깬다 ▲한번 깨면 다시 잠들기 힘들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설잠 잔 것처럼 피곤하다 등의 증상을 느낄 때 불면증으로 진단한다.

위 증상들이 3개월 이내로 있을 경우 단기 불면 장애, 위 증상들이 주 3회 이상의 빈도로 3개월 이상 지속될 때 만성 불면 장애로 진단한다. 단기 불면 장애에서 시작돼 점차 잠에 대한 집착과 잠에 대한 과도한 걱정으로 인해 만성 불면 장애로 진행되는 경우가 대다수다.

불면증은 여러 원인이 있지만 혹여 다른 질환으로 인한 불면증은 아닌지 주의해야한다.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수면무호흡증, 주기성 사지 운동증, 하지불안증 등의 질환으로 인해 불면증이 생기는 경우가 있다. 이때는 해당 질환에 대한 치료를 선행해야한다.

이대서울병원 수면센터 정신건강의학과 김선영 교수는 “특별한 원인 없이 수면에 대한 강박이나 집착으로 인해 오히려 불면증이 생기도 한다”며 “이런 경우 ‘불면장애’로 진단하는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와 인지 행동 치료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불면장애의 치료는 우리 몸의 생체 시계에 올바른 수면 습관을 각인시키는 것에서 시작한다. 생체 시계란 주간에는 신체 활동을 하고 밤에는 수면을 취하는 패턴을 가지고 활동 시간과 수면 시간을 몸 스스로 예측하는 것을 말한다. 이를 위해 낮 활동 시간 동안 운동 등의 신체활동을 통해 아데노신과 같은 수면 촉진물질이 뇌에 쌓여 밤에 원활하게 수면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카페인은 오전 10시 30분 이전 한 잔만 마시는 것이 좋다. 빛 또한 수면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빛이 망막에 들어오면 수면을 위한 호르몬인 멜라토닌을 분해해 수면을 방해한다. 때문에 밝은 조명 아래서의 야근이나 취침 2시간 전 밝은 스마트 폰 사용은 지양해야 한다. 이 외에도 깊은 잠을 방해하는 음주도 불면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김선영 교수는 “불면장애의 첫 번째는 정확한 취침시간의 설정이다. 낮잠을 포함해 수면을 방해하는 요소들은 최대한 배제한 채 동일한 입면 시간과 기상 시간을 지키는 것에서 치료가 시작된다”며 “초기 불면증상을 그대로 방치하면 점점 잠에 대해 집착하게 되고 예민해지면서 만성 불면 장애로 진행돼 치료가 더욱 지체되기도 한다. 불면 증상이 있다면 수면센터를 찾아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치료를 통해 수면의 질과 삶의 질을 회복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