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독도 탐내는 일본 억측 밝히려 비행선 띄웠다

오현주 기자I 2012.09.13 14:08:00

일본 억지 근거·발단 파헤쳐
'고려사' 주목…태생 재조명
역사적 오류 바로잡기 시도
…………………………………
독도/경주의 숨결
이명수·김치연|320쪽|다래나무

[이데일리 오현주 기자] “혹자들은 말하기를 원래 우산과 무릉은 다른 2개의 섬으로 그 거리가 멀지 않지만 바람이 불고 맑은 날이면 눈으로 볼 수 있다.” 한국사에서 독도를 말한 첫 기록이다. 1449년 편찬을 시작해 1451년 조선 문종 1년에 완성한 ‘고려사’다. 울릉도와 독도의 거리를 가늠하는 것으로 독도의 존재를 알렸다. 역사 속 독도의 태생은 고려에 있었다. 정확하게는 ‘고려사’ 중 ‘지리3’ 동계 울진현 편이다.

여기서 중대한 오류 한 가지가 잡힌다. 독도를 인지한 한국 최초의 근거라는 것 말이다. 정부문서는 물론 노래로까지 지어부른 ‘조선왕조실록’ 중 ‘세종실록지리지 50페이지 셋째 줄’이 잘못됐다는 것이다. 1454년 단종 2년에 편찬된 ‘세종실록지리지’는 1395년 태조 4년에 편찬한 ‘고려국사’의 내용을 재편집한 것이기 때문이다. ‘고려국사’는 지금 남아 있지 않다. 따라서 역시 ‘고려국사’를 재편집한 ‘고려사’가 독도를 명시한 첫 기록이 되는 셈이다.

‘독도가 인식된 시기를 고려로 끌어올려야 한다.’ 이 주장은 김치연 상명대 환경조경학과 교수에게서 나왔다. 김 교수는 항공에서 문화재를 근접 촬영한 사진을 배경으로 옛 문헌과 사료를 꼼꼼히 들춰가며 후손들의 착오를 바로잡아왔다. ‘하늘에서 바라본 한국의 숨결’ 시리즈가 그 성과물이다. 그간 ‘전라의 숨결’ 1·2·3권과 ‘제주의 숨결’을 냈다.

외로운 섬이 뜨거워진 이유

이번엔 동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하늘에서 바라본…’ 다섯 번째 권은 ‘독도와 경주’ 편으로 꾸렸다. 이 작업엔 국회 국토해양위원회 소속 이명수 의원이 함께 했다. 공동저자로 나선 이 의원은 김 교수와는 20년지기라 했다. 앞서 1~4권의 감수를 맡기도 했다.

독도와 경주를 아우른 공통분모를 단순히 지리적 근접성에서 찾지 않았다. 광복 이후 개발·보존을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치명적 소홀함에서 찾았다. 때문에 책은 상당 부분 일제강점기에 훼손된 문화재 혹은 침해된 주권에 할애한다. 1909년 경주 석굴암 전체가 일본으로 옮겨갈 뻔한 사연, 1200여년 잘 보존되던 석굴암에 1913년 착수된 시멘트 보수공사 후 누수와 습기가 생겼다는 탄식 섞인 저자들의 진단은 그 일부다. 핵심은 독도다. 일본이 독도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는 근거를 알기는 하느냐고 묻는다.

일본의 억지주장 그 첫째는 1905년 자신들이 독도에 발을 들여놨던 일이다. 일본은 러시아와의 전쟁에 대비해 독도에 통신기지를 설치했다. 그런데 이 무단점거가 이후 일본이 독도영유권을 우기게 되는 결정적 빌미로 작용한다. 그 고리는 1949년 대일강화조약 6차 협상안이 걸었다. 패망 일본과 연합국이 맺은 이 조약에서 일본은 독도를 일본영토로 표기하기 시작한다. 1~5차까지 독도를 포기하겠다는 선언이 6차에서 뒤집힌 건 당시 일본정부 정치고문이던 윌리엄 시볼드 미국 외교관에 의해서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미 국무성에 독도문제를 재고케 한 것이 ‘먹혔다’는 거다. 시볼드의 아내가 일본인 2세인 것도 한 요인이려니 짐작됐다. 1951년 뒤늦게 한국정부가 미 국무성에 문제제기를 했다. 그러나 돌아온 답변은 이랬다. “우리 정보에 의하면 1905년 이후 독도는 일본 영토로 돼 있어 받아들일 수 없다.”

북서쪽 저고도에서 비행선으로 잡은 독도. 위쪽 섬이 동도, 아래가 서도다(사진=김치연 교수).


사재로 비행기 띄워 입체적 조명

‘하늘에서 바라본…’이 시작된 의도는 소박했다. 방방곡곡 문화유산을 하늘서 한눈에 담아보면 어떨까. 헬륨가스 부력과 전동모터로 추진하는 비행선에 카메라를 달고 김 교수는 촬영에 들어갔다.

2013년까지 15권을 목표로 했다. 그런데 그게 쉽지 않은 모양이다. 짐짓 모르는 척 이유를 묻자 김 교수는 헛웃음 섞어 “비용이 너무 많이 들어서”라고 털어놨다. 지난해 11월 ‘전라의 숨결’ 3권을 냈을 당시 그는 “서울 강남 40평 아파트 한 채 값은 날렸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묵직한 2권이 연이어 나왔으니 더 안 좋아진 사정이야 말해 무엇하랴. ‘사재 들여 문화재 백과사전 만들었다’고 감탄만 할 일이 아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