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따르면 4·10 총선에서 30대 이하 청년 후보자 비율은 전체 후보자 694명 중 37명(5.3%)으로 집계됐다.
전체 후보자 중 가장 많은 연령대는 50대로 314명(45.2%)를 차지한다. 이어 60대 245명(35.3%), 70세 이상 25명(3.6%) 등을 합하면 50대 이상 후보자는 전체의 84%를 차지한다.
하지만 세대별 유권자층은 다른 양상이다. 선관위에 따르면 제22대 총선에서 10대 유권자는 89만 5000명(2%), 20대는 611만 8000명(13.8%), 30대 655만 9000명(14.8%)으로 10~30대 유권자는 전체의 30%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많다. 이어 △40대 785만 7000명(17.8%) △50대 871만 1000명(19.7%) △60대 769만 5000명(17.4%) △70대 이상 641만 4000명(14.5%)의 분포를 보인다.
이처럼 유권자층과 후보자 연령대가 비례하지 않은 것을 두고 세대별 대표성을 지적하는 목소리가 높다. 실제로 전체 유권자의 19.7%를 자치하는 50대 후보자 수는 45%를 넘게 차지하고 있고, 전체 30% 가량을 차지하는 30대 이하 유권자를 상징할 수 있는 30대 이하 청년 후보는 5%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지역별로도 청년 후보자는 편차가 큰 편이다. 서울·경기에는 30대 이하 후보자가 18명이지만 강원 지역은 청년 후보자가 한 명도 없다. 민주당 텃밭인 전북과 전남은 20대만 1명, 30대는 없다. 보수 정당에 양지로 평가받는 대구와 경북에서는 30명 연령대에서 각각 1명, 2명 후보만 출마한다. 충청권을 보면 충남에는 단 한 명의 청년 후보자가 없고, 충북에서는 김수민 국민의힘 청주청원 후보가 유일하다.
정치권 관계자는 “50대 이상 중장년층 후보자가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해 대표성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나올 수 밖에 없다”면서 “공정과 정의에 민감한 2030세대의 의견을 묵살하고, 범법행위자와 부도덕한 후보자들이 난립하는 상황은 기성 정당들이 청년 눈치를 보지 않는 퇴행적 정치문화를 보여주는 단면”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