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출국자는 51만8000명으로 8.7%(4만2000명) 증가했으나, 입국자가 60만6000명으로 47.7%(19만6000명)이나 늘어났다. 입국자에서 출국자를 뺀 국제순이동으로 보면 8만8000명이 순유입됐다. 2021년 코로나19 확산 여파로 15년 만에 순유출(-6만6000명)된 이래 1년 만에 순유입 전환한 것이다.
내국인 입국자는 전년 대비 1.7%(3000명) 증가한 19만3000명이었다. 내국인 출국자는 27만3000명으로 28.3%(6만명) 늘었는데, 이는 2000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 증가 폭이다. 순유출 규모는 8만명으로 전년(2만3000명) 보다 확대됐다. 코로나19가 처음 발생했던 2020년 내국인 입국자(44만명)가 크게 늘어 순유입(24만1000명)이 증가했던 영향이 이번에 해제되면서 순유출이 늘어났다는 게 통계청의 설명이다. 순유출은 모든 연령대에서 일어났으며특히 20대(3만8000명)에서 가장 컸다.
외국인 입국자는 41만3000명으로 역대 최고 증가 폭인 87.2%(19만2000명) 치솟았다. 반면 외국인 출국자는 7.1%(1만9000명) 감소한 24만5000명이었다. 이로써 2021년 4만3000명 순유출됐던 외국인 국제순이동은 지난해 16만8000명 순유입 전환했다. 모든 연령대에서 순유입됐으며 20대(9만2000명)가 가장 활발했다.
지난해 한국에 들어와 90일 넘게 체류한 외국인을 자격별로 분류하면 취업목적의 입국자가 13만8000명(33.4%)으로 가장 많았다. 전년과 비교해 105.5%(7만1000명)나 늘어난 규모다. 유학·일반연수는 21.5%(39.7%) 증가한 8만9000명으로 뒤따랐다. 세부적으로는 비전문취업과 유학에서 각각 638.6%(7만5000명), 48.2%(1만9000명) 증가해 통계 작성 이래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다음으로는 단기(8만8000명·21.4%), 영주·결혼이민(5만3000명·12.7%) 순이었다.
외국인 입국자를 국적별로 나누면 중국이 9만5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베트남(5만2000명), 태국(3만5000명) 순이었다. 상위 3개국 입국자는 전체 외국인 입국자의 43.9%를 차지했다. 출국자도 중국(7만명)과 베트남(3만4000명), 태국(1만7000명) 순이었다. 순유입은 중국(2만5000명), 태국(1만7000명), 베트남(1만7000명) 순으로 많았다.
주요국 입국자 체류자격별 구성비를 보면 중국은 유학·일반연수 목적의 입국자가 33.0%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베트남과 태국은 각각 영주·결혼이민(34.5%), 단기(79.1%)가 제일 많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