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아이와 함께하는 일상은 쉽지 않다. 그럼에도 우리 사회가 아이와 함께 지내는 사회로 거듭나야 한다”며 “우리 모두는 어린이거나 어린이였고, 인생의 첫 순간에 느리고 서투르다. 모두가 느리고 서툴고 미숙해도 괜찮은 사회를 만들자”고 말했다.
용 의원은 “우리에게 필요한 건 ‘노 키즈 존’이 아닌 ‘퍼스트 키즈 존’”이라며 “참 많은 분들이 인구위기의 심각성을 말씀하시는데, 왜 어린이와 어린이를 돌보는 양육자들의 일상은 인구위기의 대책으로서 주요 의제로서 논의의 장에서 다뤄지지도 않는지 이해할 수 없는 노릇”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공공시설조차 합리적 이유 없이 ‘노 키즈 존’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대표적으로 국립중앙도서관은 만 16세 이상만 이용자이고, 초등학생 이하 연령은 아예 출입할 수도 없다”며 “공공시설조차 ‘노 키즈 존’을 관행 삼아서는 안 된다. 정부가 당장 시행할 수 있는 공공시설부터 ‘노 키즈 존’을 근절할 수 있는 제도적·문화적 개선책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그는 또 “어린이의 여가권을 보장하고 돌봄 공공성을 확대하기 위해 한국판 ‘어린이 패스트트랙 제도’를 도입해야 한다”며 “패스트트랙은 어린이 동반 가족과 임산부가 박물관이나 미술관, 공원 등에 줄을 서지 않고 입장하는 제도인데, 어린이에게 다양한 여가공간을 보장하기 위해 패스트트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용 의원은 “‘노 키즈 존’으로 시작된 사회적 배제는 나날이 커지고 있다. 이제는 ‘노 유스 존’, ‘노 중년 존’도 이상하지 않은 말이 됐다. 조금 더 빠르고 편리한 일상을 위해 누군가를 차별하고 배제해도 괜찮다는 생각에 길들여진 것”이라며 “그러나 우리 모두는 어린이이거나, 어린이였다. 우리 모두는 인생의 첫 순간에 느리고 서투르며, 언제나 처음 배우는 일에 미숙하고 누군가의 도움을 필요로 한다. 인구위기를 극복하려면 어린이를 돌보는 일이 개별 양육자의 몫이 아닌 사회 전체의 책임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