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출 비중이 높은 기업은 타격이 불가피하고 일본 의약품 원료 수입 비중 높은 기업은 수혜가 기대된다. 바이오 기업 중 일본에서 선전하고 있는 기업은 셀트리온, LG화학 등이고 동아제약, 제일약품, 보령 등은 일본 원료나 일본 제품 판매 포트폴리오를 다수 보유하고 있다.
2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지난 19일 원·엔 재정환율은 100엔당 897.49원을 기록해 800원대에 진입했다. 이후 100엔당 900원 대 초반으로 복귀했지만 엔화 약세는 현재진행형이다. 원·엔 환율이 900원대 밑으로 내려간 것은 지난 2015년 6월 이후 약 8년 만이다.
◇ 일본 바이오시밀러 강자, 셀트리온·LG화학 ‘타격’
이에 일본에서 바이오시밀러(바이오 복제약)를 판매하거나 원료의약품 및 중간체 등을 수출하고 있는 기업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기업은 LG화학과 셀트리온이다.
LG화학 생명과학사업본부는 일본에서 바이오시밀러 제품으로 높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 특히 엔브렐 바이오시밀러 유셉트는 일본 시장에 ‘퍼스트시밀러’로 출시된 지 4년 만에 작년 시장 점유율 40%를 기록했다. 일본 전체 시장 규모가 4000억원이니 대략 현지 판가 기준 매출 1000억원 정도는 올린 것으로 추정된다. 휴미라 바이오시밀러도 일본에서 판매 중이다. 해당 제품은 LG화학 국내 오송공장에서 완제품을 생산해 일본 모치다제약에 공급하고 있다.
|
LG화학 관계자는 “휴미라 바이오시밀러인 젤렌카주는 출시 1년 정도로 매출이 크게 높지는 않다”며 “모찌다제약과 유통 협력에 나서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 동아·제일 등 일본 원료 사용 기업, 원가 절감 예상
반면 라이센스 계약 등에 의해 일본에서 완제품이나 원료의약품을 수입하고 있는 국내 제약사들은 엔저 효과를 누릴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2021년 기준 우리나라에서 원료의약품을 중국, 인도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이 수입하는 나라다. 한국의 일본 원료의약품 수입 의존도는 10.6%로 인도(10.8%)와 거의 차이가 없다.
|
제일약품은 일본 다케다 일부 제품을 국내에 판매하고 있다. 제일약품은 다케다 란스톤LFDT(란소프라졸)와 덱실란트DR(덱스란소프라졸)의 국내 영업·마케팅을 오랫동안 맡아왔다. 제일약품 란스톤, 덱실란트 등의 작년 매출은 700억원 이상이다.
보령 또한 일본 제품인 메이엑트 항생제(작년 매출 145억원)를, 일동제약은 200억원 규모의 일본산 원료와 완제품을 국내에 들여온다.
보령 관계자는 “당장 어떤 가시적인 효과로 이어지려면 좀 시간이 지나야 하겠지만 이런 현상이 지속되면 원가 절감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