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방역패스로 인해 불편을 겪는 경우는 성인(만 18세)의 4%에 불과하고, 전체 국민에게 영향을 미치는 거리두기에 비해 더 효과가 있다는 입장이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지난 15일 정례브리핑에서 “방역패스는 미접종자들의 감염과 그리고 이들로 인한 전파를 예방하는 데 주 초점이 있다”며 “만 18세 이상 성인의 4%만이 지금 접종을 받지 않으신 분들이라서 방역패스로 인해 불편을 겪게 되시는 분들은 이들 4% 정도의 성인들이 되겠다”고 이어 “거리두기 조치는 영업시간 제한을 하거나 사적모임 제한을 하면 전 인구 5000만명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조치이지만 방역패스는 18세 이상의 4%의 인구에 영향을 미치는 정책”이라며 “이런 부분들에 있어 현재 중증과 사망 최소화를 위한 정책적 목표달성을 위한 비용 효과성을 고려할 때 방역패스의 효과성 자체는 거리두기보다는 좀 더 유지의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일각에선 오미크론 변이는 40대 이하에서 중증화율은 0.04%과 치명률은 0%에 가까운 극히 낮은 상황이고, 60대 이상 미접종자(약 60만명)에서 중증환자와 사망자의 80~90%가 발생하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로인해 전 연령에 대해 방역패스를 적용이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주장도 있다. 이에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전일(16일)부터 약 181만명인 미접종자(1차 접종 포함)에 대해 확진 후 완치된 경우엔, 격리해제일로부터 180일간 유효한 방역패스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하지만 정부는 당초 한시적 조치로 시작했던 방역패스를 어느 시점까지 유지할지에 대해선 뚜렷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있다. 미접종자의 경우 가족과의 외식이나 대외활동이 사실상 차단된 상황이지만, 방역패스의 해제 시점은 여전히 미지수다.
손영래 반장은 이날 백브리핑에서 “방역패스는 큰 틀에서 보면 사회적 거리두기 조치와 맞물려 대응체계를 지속하고 있다”며 “방역패스와 거리두기 조치는 어떻게 조정할 것인지는 위중증 환자, 의료체계 여력 등 감안해야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