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2025년도 기업환경 개선사업’을 위해 올해 622개 지원 대상을 확정, 추진한다고 31일 밝혔다.
이에 따라 도는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기반시설 △노동환경 △지식산업센터 △작업환경 △소방시설 등 5개 분야 기업환경 개선 사업을 시행한다.
‘기반시설 개선’ 분야는 중소기업 밀집지역에 도로 확·포장, 상하수도 등 경영 관련 기반시설을 정비하며 사업 당 최대 7억원까지 19개 사업을 진행한다.
특히 올해는 지원대상을 확대해 5개사 이상 참여시 지원하던 것을 3개사 이상으로 완화했다.
‘노동환경 개선’ 분야는 종업원 200명 미만, 매출액 300억원 이하 중소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기숙사, 식당, 화장실, 휴게공간 등의 설치 및 개·보수를 지원하며 올해는 79개 사업을 지원 대상으로 선정했다.
‘지식산업센터 개선’ 분야는 준공 후 7년 이상 경과된 지식산업센터를 대상으로 화장실, 노후 설비 등의 개·보수를 6000만원 한도에서 지원하는 것으로 올해 5개 사업을 추진하고 ‘작업환경 개선’ 분야는 종업원 50명 미만 제조업 중 영세 소기업을 대상으로 바닥·천장·벽면, 작업대, 환기·집진장치 등 작업공간을 개·보수하는 비용을 2000만원까지 지원한다.
‘소방시설 개선’ 분야는 직원 200명 미만, 매출액 300억원 이하 중소기업(제조업) 또는 준공 후 7년 이상 경과된 지식산업센터화재에 경보설비, 무선화재감지기, 노후 전기배선 교체 등 33개 사업을 지원한다.
도는 지난해 8월부터 시·군 수요조사 후 현장조사와 사업선정 심의를 거쳐 1월 실시한 추가 수요조사를 포함해 31개 시·군에 총 143억원을 도비와 시·군비로 지원할 방침이다.
전은숙 기업육성과장은 “중소기업의 열악한 기반시설 정비와 소방시설, 노동·작업환경 개선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