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황운하 의원(대전 중구)이 조사·발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대전 창조경제혁신센터의 경우 개소 이후 국비와 지방비 215억원이, 세종 창경센터는 모두 159억원이 넘는 혈세가 투입된 반면 SK에서 낸 지원금은 전무했다.
그러나 대전과 세종 창경센터의 역대 센터장 4명 모두 SK 퇴직 간부 출신으로 밝혀졌다.
또 대전 2명 등 세종 창경센터에 파견된 SK 직원 인건비까지 국비와 지방비 등 국민 세금으로 부담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국 17개 창경센터의 평균 국비, 지방비, 민간 지원금 비율은 50.5%대 30.7%, 18.8% 등이다.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지난 5년간 경기도 창경센터 파트너 기업인 KT는 모두 208억을 부담했다.
경북과 대구를 맡은 삼성은 각각 27억원과 118억원을, 충북을 전담한 LG는 64억원을 지원했다.
이 기간 중 전국 17개 창경센터 대기업 지원금은 2015년에 327억원에서 2017년 125억원, 2018년 67억원, 지난해 52억원 등으로 매년 감소하고 있다.
출범 첫해에 비해 6분의 1 수준으로 감소한 수치이다.
올해는 상황이 더 악화될 전망이다.
박근혜정부 시절 핵심 국책 사업으로 급조된 창경센터는 2014년 말부터 1년 만에 순차 설립됐다.
지역별 전담 대기업과 매칭을 이뤄 초기 벤처기업인 스타트업을 지원한다는 취지였지만 파트너 대기업들은 떠나고 있는 상황이다.
대기업이 아예 지원을 중단한 센터는 2018년 기준 전체 17곳 중 대전과 세종, 경북, 전남, 제주, 충남 등 모두 6곳이다.
지난해에는 강원과 인천 등 등 8곳으로 늘었다.
황 의원은 “창경센터 사업에 지금까지 국비 2219억원과 지방비 1350억원이 투입됐으며, 내년 예산까지 포함하면 4000억원이 넘는 혈세가 투입된다”며 “반면 지역별 파트너 대기업이 대부분 손 떼려고 하는 게 아닌가 하는 의구심이 든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창경센터 운영 주체를 지역별 전담 대기업에서 지자체로 이관하거나 지역 중견기업과 벤처기업, 지역 대학 등 지역별로 다양한 혁신주체가 참여해 초기 스타트업의 보육·투자에 집중하는 방향으로 혁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