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유엔 경제사회부(DESA)는 지난 11일 2년마다 발표하는 인구전망 보고서를 통해 2080년대에 접어들어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세계 총인구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전 세계 인구는 2084년 102억9000만명을 기록한 뒤 2100년까지 101억8000만명까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2051년에 전 세계 합계출산율 2.1명대가 붕괴되며, 아프리카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생산가능인구 비중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됐다.
우리나라는 2020년 인구가 5186만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뒤 하락 중인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올해부터 2100년까지 2023년의 합계출산율 수준(0.72명)을 유지하면 인구가 정점 대비 약 33%(1703만명) 수준으로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연령별 인구 비중의 경우 2023년 생산가능인구층(15~64세)이 70.7%를 차지하고 있지만, 2100년이 되면 46.2%로 감소하고 65세 이상 고령층 비중(45.2%)과 유사해질 것으로 예측됐다.
|
구체적으로 연구원은 2025년 ‘제5차 저출산·고령사회기본계획’에서 △단·장기 정책 조화 △정책 연속성 제고 △현재·미래 세대 간 형평성 고려 등을 반영해야 한다고 짚었다.
연구원은 고령인구의 경제적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연구원은 “앞으로 80대 이상의 고령인구 비중이 크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는 의료·복지서비스 비용 증가, 연금 부담 증대 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며 “젊은 세대의 복지 비용 부담을 줄이기 위해 고령인구의 경제적 역할을 제고해야 하고 퇴직 이후 경제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또한 연구원은 장기적인 인구 성장이 예상되는 아프리카나 일부 아시아 지역에서 투자와 협력 기회를 발굴해 새로운 경제 성장 동력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해당 지역은 인구가 늘어남에 따라 도시 건설과 인프라 수요가 증가해 건설, 교통,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투자 기회를 제공할 수 있고 거대한 소비 시장으로서 성장할 잠재력이 있다는 분석이다.
그 외 연구원은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대응해 노동력을 대체할 수 있는 인공지능(AI)이나 자동화, 로봇 공학과 같은 첨단 기술 부문에 대한 투자를 지속해야 하고 젊은 세대의 출산과 보육에 대한 전사회적인 지지와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